Next_ Vol. 244 22년 9월 19일 ▶
식물통신WG
카오스 재단 - 식물 행성 강연회 - 9강 "식물 유전학과 육종의 역사" 포스텍 최규하 교수 강연 요약
[강연] 식물 유전학과 육종의 역사 포스텍 최규하 교수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9강
2022-05-11-수
야생식물에서 인간이 작물을 재배하면서 어떤 일이 발생했는가?
유전체(유전정보)가 많이 변경
환경에 적응한 식물만 살아 남음 -> 재배 식물은 다양성이 떨어짐
인류의 선택 재배, 보라색(항산화물질) 농작물에 대한 기호도 생김
네델란드의 튤립 붐 : 버블 경제(시장)의 예
1)먼 과거(만년 전 ~ 1900)
작물 domestication/식물 유전체 변형
고추 - 남아메리카
밀,보리-터키,시리아 (현재 곡창 지대는 우크라이나, 영국, 독일, 프랑스)
벼,콩 - 중국 (현재 곡창지대는 중국, 인도)
옥수수,호박,콩,감자 - 멕시코 등 아메리카 (현재 곡창 지대, 미국, 아르헨티나)
오랜 재배의 결과로 유전적 변화
옥수수 예 : 좋은 씨앗을 "선택"하여 다음 세대에 이용 ->인류의 인위적 선택으로 낟알 크기 증가
멕시코 테우아칸 계곡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된 옥수수 속대를 보면 크기가 커졌음
옥수수에서 씨앗을 감싸는 덮개가 제거되도록 인류 선택으로 인한 진화
옥수수가 작물화 되면서 곁가지가 감소 -> 밀집해서 심을 수 있게됨
야생에서는 종자를 빨리 탈립되는데, 작물은 비탈립
자연은 종자 탈립, 종자 성숙과 발아가 불균형, 수명이 환경조건에 의존, 종자 껍질 털 가시가 존재, 독성 물질이 존재하는 방향으로 진화
인류는 종자는 비탈립을 선택, 종자 성숙과 발아는 균등한 것을 선택, 수명은 수명이 짧고(동시 개화)로 선택, 종자 껍질 털 가시는 없는 것을 선택, 독성물질이 없는 것을 선택
배추 - 야생 겨자 식물(Brassica Oleracea) : 인위적 선택
브로콜리 - 꽃봉오리와 줄기
콜리플라워 - 꽃봉오리
콜라비 - 줄기
브러쉘 - 잎 새싹
배추 - 잎
케일 - 잎
유전 정보
유전자는 단백질을 부호화 하는 DNA 염기 서열로 되어 있음
DNA 는 염색체에 담겨 있고, 각 염색체들은 유전자들을 담고 있음
유전체(종마다 있는 모든 유전자 세트) 는 하나의 세포에 모두 담겨 있음
쌍으로 존재 : 2배체
사람 유전체는 22쌍의 염색체 + XY 성염색체 : 총 46개 염색체로 구성
진핵생물: 2~3만개 유전자 수
옥수수의 염색체 : 2n=20, 사람 2n=46)
2체가 아닌 작물
밀 (600체)
배추, 고먼, 유채, 갓 : 4배체
우장춘 박사의 우트라이앵글 : 배추(2배체) 속 작물들은 4배체
밀의 경우 4배체, 6배체(빵밀)-밀 유전체의 길이는 사람의 유전체보다 5배 더 크다.
탈립 안되도록 진화 ->선택->털벗기
벼 IR64 품종
재조합( Recombinations) + 전위(Translocations) + 역위(Inversions) + 결손(Deletions)
우리가 먹고 있는 음식은 원래 형태에서 광범위하게 변형된 식물, 유전자 서열이 많이 변함
2)가까운 과거(1900~2021)-과학적 식물 육종
잡종(Hybrid) 종자
인구 증거에 따라 육종을 통해 꾸준히 식물 개량
화학비료, 농업의 기계화, 관수 활용
멘델(1865 분리의 법칙, 독립의 법칙, 우성/열성)과 다윈(1859년 종의 기원: 자연 변이에 집중)
잡종 강세(Hybrid Vigor, heterosis) : 교배된 자손이 부모 식물들보다 더 성장을 잘하고 수확량이 많은 현상
농부와 종묘의 비지니스 협력 : 잡종 강세 작물을 재배함 (배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멜론, 오이, 호박, 시금치, 상추, 토마토, 가지, 고추, 양파, 당근, 콩, 완두)
녹색혁명: 교배 육종
Norman Borlaug, 녹색 혁명의 아버지, 노벨상
병(녹병)에 강하고 키가 작아(한국 품종) 넘어지지 않는 밀을 육종
통일벼 :밀양에서 육종, 생산량이 2배 이상 확대
작물 생산성은 인구증가와 함께 증가
경작지를 늘이지 않고 생산성을 늘이는 것이 환경 변화를 최소화, 종 다양성 감소를 늦춤
유전체 시대: 육종 기술의 진보
분자육종 - 염기서열을 바꾸는 방법
특정 문자 마커(marker)활용 : MAS, 표현형보다 DNA 마커로 '선택'하는 것이 빠름(예, 인도에서 침수 저항성 벼 개발)
유전체 정보 활용: 표현형 분석 ->유전형 분석->연관 분석->유전자 변이 발견
형질전환식물(GMO)
유전자가위를 통한 정밀 육종
교배 육종, 돌연변이, 형질전환(재분화 과정-캘러스 )은 10년 이상이 걸리지만, 유전자 가위는 4~6년 걸림
CRISPR/Cas9으로 원하는 부분에 돌연변이를 일으키게 함. RNA 디자인이 가능
벼, 토마토, 유채, 감자, 옥수수 등에 병 저항성, 가뭄 저항성, 고온 저항성, 다수확, 고품질, 질소를 잘 흡수 등 활용
작물도 맞춤형 개량 가능
3)현재와 미래(2021~)
유전자 편집 시대: 2차 녹색 혁명과 환경
교수님 관심분야 : 잡종 강세 식물을 종자로 복제할 수 있다면?
자연: 감수분열(Meiosis 2배체->반수체)->(재조합)
연구: 감수분열 대신 체세포 분열(MiMe) ->유전자 가위를 사용하여 처녀생식:모계 클론, 수정하면 4배체
벼의 알세포에 수정해서 배젓이 되는데, 처녀 생식으로 배 발달
교수님 연구실 : 감수분열 교차 재조합 수를 늘이는 연구
정상의 식물 유전체를 교차 증가 돌연변이로 교차 증가 돌연변이 식물 유전체를 만들어 유전자 연구
4)Q&A
유전체 분석으로 벼의 고향은 중국으로 판명됨
메타카오스: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한 식물의 육종은 연구로 그쳐야 하는가 아니면 실질적으로 농업화가 되어야 할까?
[강연] 식물 유전학과 육종의 역사 포스텍 최규하 교수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9강
2022-05-11-수
야생식물에서 인간이 작물을 재배하면서 어떤 일이 발생했는가?
유전체(유전정보)가 많이 변경
환경에 적응한 식물만 살아 남음 -> 재배 식물은 다양성이 떨어짐
인류의 선택 재배, 보라색(항산화물질) 농작물에 대한 기호도 생김
네델란드의 튤립 붐 : 버블 경제(시장)의 예
1)먼 과거(만년 전 ~ 1900)
작물 domestication/식물 유전체 변형
고추 - 남아메리카
밀,보리-터키,시리아 (현재 곡창 지대는 우크라이나, 영국, 독일, 프랑스)
벼,콩 - 중국 (현재 곡창지대는 중국, 인도)
옥수수,호박,콩,감자 - 멕시코 등 아메리카 (현재 곡창 지대, 미국, 아르헨티나)
오랜 재배의 결과로 유전적 변화
옥수수 예 : 좋은 씨앗을 "선택"하여 다음 세대에 이용 ->인류의 인위적 선택으로 낟알 크기 증가
멕시코 테우아칸 계곡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된 옥수수 속대를 보면 크기가 커졌음
옥수수에서 씨앗을 감싸는 덮개가 제거되도록 인류 선택으로 인한 진화
옥수수가 작물화 되면서 곁가지가 감소 -> 밀집해서 심을 수 있게됨
야생에서는 종자를 빨리 탈립되는데, 작물은 비탈립
자연은 종자 탈립, 종자 성숙과 발아가 불균형, 수명이 환경조건에 의존, 종자 껍질 털 가시가 존재, 독성 물질이 존재하는 방향으로 진화
인류는 종자는 비탈립을 선택, 종자 성숙과 발아는 균등한 것을 선택, 수명은 수명이 짧고(동시 개화)로 선택, 종자 껍질 털 가시는 없는 것을 선택, 독성물질이 없는 것을 선택
배추 - 야생 겨자 식물(Brassica Oleracea) : 인위적 선택
브로콜리 - 꽃봉오리와 줄기
콜리플라워 - 꽃봉오리
콜라비 - 줄기
브러쉘 - 잎 새싹
배추 - 잎
케일 - 잎
유전 정보
유전자는 단백질을 부호화 하는 DNA 염기 서열로 되어 있음
DNA 는 염색체에 담겨 있고, 각 염색체들은 유전자들을 담고 있음
유전체(종마다 있는 모든 유전자 세트) 는 하나의 세포에 모두 담겨 있음
쌍으로 존재 : 2배체
사람 유전체는 22쌍의 염색체 + XY 성염색체 : 총 46개 염색체로 구성
진핵생물: 2~3만개 유전자 수
옥수수의 염색체 : 2n=20, 사람 2n=46)
2체가 아닌 작물
밀 (600체)
배추, 고먼, 유채, 갓 : 4배체
우장춘 박사의 우트라이앵글 : 배추(2배체) 속 작물들은 4배체
밀의 경우 4배체, 6배체(빵밀)-밀 유전체의 길이는 사람의 유전체보다 5배 더 크다.
탈립 안되도록 진화 ->선택->털벗기
벼 IR64 품종
재조합( Recombinations) + 전위(Translocations) + 역위(Inversions) + 결손(Deletions)
우리가 먹고 있는 음식은 원래 형태에서 광범위하게 변형된 식물, 유전자 서열이 많이 변함
2)가까운 과거(1900~2021)-과학적 식물 육종
잡종(Hybrid) 종자
인구 증거에 따라 육종을 통해 꾸준히 식물 개량
화학비료, 농업의 기계화, 관수 활용
멘델(1865 분리의 법칙, 독립의 법칙, 우성/열성)과 다윈(1859년 종의 기원: 자연 변이에 집중)
잡종 강세(Hybrid Vigor, heterosis) : 교배된 자손이 부모 식물들보다 더 성장을 잘하고 수확량이 많은 현상
농부와 종묘의 비지니스 협력 : 잡종 강세 작물을 재배함 (배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멜론, 오이, 호박, 시금치, 상추, 토마토, 가지, 고추, 양파, 당근, 콩, 완두)
녹색혁명: 교배 육종
Norman Borlaug, 녹색 혁명의 아버지, 노벨상
병(녹병)에 강하고 키가 작아(한국 품종) 넘어지지 않는 밀을 육종
통일벼 :밀양에서 육종, 생산량이 2배 이상 확대
작물 생산성은 인구증가와 함께 증가
경작지를 늘이지 않고 생산성을 늘이는 것이 환경 변화를 최소화, 종 다양성 감소를 늦춤
유전체 시대: 육종 기술의 진보
분자육종 - 염기서열을 바꾸는 방법
특정 문자 마커(marker)활용 : MAS, 표현형보다 DNA 마커로 '선택'하는 것이 빠름(예, 인도에서 침수 저항성 벼 개발)
유전체 정보 활용: 표현형 분석 ->유전형 분석->연관 분석->유전자 변이 발견
형질전환식물(GMO)
유전자가위를 통한 정밀 육종
교배 육종, 돌연변이, 형질전환(재분화 과정-캘러스 )은 10년 이상이 걸리지만, 유전자 가위는 4~6년 걸림
CRISPR/Cas9으로 원하는 부분에 돌연변이를 일으키게 함. RNA 디자인이 가능
벼, 토마토, 유채, 감자, 옥수수 등에 병 저항성, 가뭄 저항성, 고온 저항성, 다수확, 고품질, 질소를 잘 흡수 등 활용
작물도 맞춤형 개량 가능
3)현재와 미래(2021~)
유전자 편집 시대: 2차 녹색 혁명과 환경
교수님 관심분야 : 잡종 강세 식물을 종자로 복제할 수 있다면?
자연: 감수분열(Meiosis 2배체->반수체)->(재조합)
연구: 감수분열 대신 체세포 분열(MiMe) ->유전자 가위를 사용하여 처녀생식:모계 클론, 수정하면 4배체
벼의 알세포에 수정해서 배젓이 되는데, 처녀 생식으로 배 발달
교수님 연구실 : 감수분열 교차 재조합 수를 늘이는 연구
정상의 식물 유전체를 교차 증가 돌연변이로 교차 증가 돌연변이 식물 유전체를 만들어 유전자 연구
4)Q&A
유전체 분석으로 벼의 고향은 중국으로 판명됨
메타카오스: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한 식물의 육종은 연구로 그쳐야 하는가 아니면 실질적으로 농업화가 되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