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통신WG

카오스 재단 - 식물 행성 강연회 - 3강 식물은 어떻게 키가 커지고 뚱뚱해질까? : 충북대 조현우 교수 강연 요약

강현주
2022-04-07
조회수 103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3강     2022-03-30-Wed 

[카오스재단] 식물은 어떻게 키가 커지고 뚱뚱해질까? -  충북대 조현우 교수


식물 형태학

  • 육상식물 60만종, 50만가지 생존 전략을 가지고 지금까지 살아 왔음

  • 식물의 설계 도면을 다시 만듬

  • 식물의 변화로 환경의 변화를 예측

  • 식물의 발달 ( development) : 세포의 종류(다형성, 기능이 달라짐)와 크기가 증가하는 것(= 생물의 생활사를 특정 짓는 연속된 형태의 변화)

후배아 발달(Post-embryonic Development)

  • 새로운 기관을 만들어내는 것이 포함됨

  • 줄기(Stem)세포 :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

    • 균등분열을 통한 줄기세포 증식

    • 비균등분열을 통한 줄기세포 유지 및 분화(기능이 달라지는 세포)

    • 후배아 발달 과정 동안 평생 일을 함

    • 지상부 생장점(정단분열조직)

    • 지하부 생장점(근단분열조직)

    • 형성층(부름켜)-부피성장, 관다발(육상 생물을 만듬) 만들어냄

    • 100마이크롬 사람머리카락 1/3 ->생장점

  • 후배아 발달 프로그램

    • 일차 성정 : 길이 성장 (지상부/지하부 새장점)

    • 이차 성장 : 부피 성장 (형성층)

    • 식물이 키가 커지는 이유 : 빛을 획득하기 위한 경쟁

    • 식물이 육상으로 올라온 이유 : 빛을 더 많이 얻기 위해!!

    • 종자 발아

    • 떡잎이 펴지고 빛의 방향으로 잎을 움직임

    • 꽃을 피우고 씨를 맺는 과정

  • 광수용체 단백질

    • UVR8, PH0T1, PH0T2, CRY1, CRY2, ZLF(ZTL, ADO, FKF) : 청색광 

    • phyA,  phyB, phyC, phyD, phyE(적색광)

    • 암형태형성(식물이 어두울 때 발달하는 과정)

    • 광형태형성(빛이 있을 때, 발달하는 과정)

    • COP1, SPA 호르몬 조절

    • PIF, HY5(Elongated Hypocotyl 5: bZIP transcription factor)

  • 식물의 호르몬 : Phytohormone 10개

    • 브라시노스테로이드

    • 지베렐린

    • 옥신

    • 살리실산

    • 사이토카이닌

    • 자스몬산

    • 에틸렌

    • 앱시스산

    • 스트리고락톤

    • 카리킨

  • 호르몬 : 세포간 정보를 전달하는 메신저 (화학적 메신저): 

    • 식물 호르몬 신호 -> 수용체 -> 억제 단백질 (신속한 반응 유도) -> 기능 단백질 -> 식물의 호르몬 반응 (성장/면역/스트레스 회피)

    • 이중 억제 구조 :  기능하는 단백질을 만들게 되면 시간이 많이 걸리는데,  미리 만들어 두게하여 억제 단백질을 줄이면 신속하게 반응이 유도 됨 (대비한 식물만 진화적으로 살아 남았다.)

  • 성장 호르몬 :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옥신, 지베렐린

    • 키가 자리기 위해 "생장점에서의 세포 분열을 통한 숫자 증가 및 분화", "세포벽의 산성화 유도, 세포벽 약화, 팽창" --> 세포 길이가 길어지고 커진다.

  • 식물 세포의 신장 : 산 생장 모델 (세포의 길이의 증가)

    • 식물은 세포벽(세룰로스, 단단한 껍데기)으로 둘러쌓여 있음. 

    • 옥신이 인식되면 양성자 펌프(2021)로 양성자를 세포벽으로 보내서 Ph 가 낮아져 산성화 -> 확장소라는 단백질이 흐물흐물해짐, 세포벽이 느슨해지면서 물주머니(엑포)가 팽창하여 길어짐

    • 식물의 세포벽의 배열 방향으로 부피성장이나, 길이 성장이 이루어진다.

    • ex)콩나물이 암조건에서 자라면, 지베렐린, 옥신, 브라시노스 테로이드가 기능이 활발해 진다. 

    • 빛이 없는데서  길어지는 이유는 흙속에서 해를 보기 위해 자라기 위해 길어지고, 떡잎은 펴지면 안되기 때문에 위로만 자란다.

    • 빛을 보자마자 광 형태 형성이 시작되고 염록소를 생성하고, 세포 신장 억제, 곁뿌리 뿌리 발달 억제함.

    • 옥신이 있는 곳으로 식물이 생장함으로 굴광성에 따라 굽어 자람

  • 정단 분열 조직의 세포 구성

    • 중앙대 : 줄기 세포 - 양 옆으로해서 잎을 만듬

    • 기관 형성 중심부 - 느리게 분열하고 줄기세포를 가끔 만듬.   줄기세포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치명적이게 됨으로 분열하지 않고 가만히 있다가 문제가 생겼을 때 줄기세포를 만듬

    • 수상대 세포 : 줄기 세포 - 키가 성장 (아래쪽으로 세포 공급)

  • 생장점의 항상성 유지

    • 항상 일정한 량을 유지 : 음성 되먹임 구조

    •  CLV3(클라바타 3), WUS(기관 형성 중심부)가 서로 맞물려 있음

식물은 어떻게 뚱뚱해 지는가?

  • 2차 성장 : 수피(코르크로 만들어진 표피) - 체관 - 형성(이차 세포벽: 더 단단한 세포벽)층 - 물관2(섬유세포, 도관) - 물관 1 

  • 형성층 : 관다발 조직을 만들어내는 줄기 세포

    •  안쪽, 바깥쪽 조직적으로 이차 성장

    • 물관 만들고, 체관만들고 하면서 균형을 가지고 만들어짐. 어떤 순서로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지는지는 아직 연구되고 있는 중

    • 식물을 뚱뚱하게 만들어 지지효과를 가진다.

    • 부피가 커졌기 때문에 더 많은 물을 요구하고, 광합성을 효율적으로 해야한다. 

    • 부피성장과정으로 만들어진 세포가 식물의 중량의 대부분임

    • 단단한 껍데기 550 GTon이 매년 만들어짐, 4Gton 이 밖으로 나감

    • 인류세에서 탄소 평형이 깨짐 

    • 식물의 부피성장을 위해 목재에 이산화탄소를 저장

    • 리그닌 (시멘트 처럼 섬유소-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안으로 들어감) -> 2차 세포벽(단단함)

    • 섬유세포벽에도 물이 포함됨

    • 강력한 물의 삼투압

  • 2차 성장 과정에서 호르몬의 역할 : 에틸렌, 사이토카이닌 (형성층 분열 촉진)

    • 3대 성장 호르몬(지베렐린, 옥신, 브라시노스 테로이드)은 이차 물관부 형성 촉진 (세포벽을 더 단단히 하는데 관여)

  • 2차 성장 과정에서 빛의 역할?

    • 나이테, 물관의 2차 세포벽(봄)/ (여름, 가을)/ (겨울-분열하지 않음) 빛의 길이에 따라 2차 성장이 달라진다.

    • 변하지 않는 빛의 길이(단일/장일) 는 상수처럼 이용, 온도는 부수적

    • 생장점 및 형성층의 정교한 성장 조절 (빛과 물의 이용 극대화)

    • 키가 크고 뚱뚱해진 식물의 육상 완전 정복

Q&A

  • 감자는 줄기

  • 식물은 무한정 커질 수 있을까? 

    • 지구에서는 120m까지 클 수 있다고 함

    • 물을 끌어 당길 때, 중력/기압을 고려해서 한계치로 알고 있음

    • 나이는 5000년

    • 부리는 무한정 길어질 수 있을까?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