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통신WG

카오스 사이언스 - 생명행성 4강-"숲과 임업 그리고 산림생명과학" 서울대 산림과학부 강규석 교수

강현주
2022-07-07
조회수 25

Part 1 : 인간에게 나무와 숲이란?

  • 움직임 여부, 광합성 여부로 식물을 구분

  • 나무와 풀을 구분?

    • 부피 생장

    • 대나무는 나무가 아니다! 마디 마디에 생장이 있어서 한번 크고는 부피생장을 하지 않기 때문임

  • 상록수와 낙엽수?

    • 침엽수와 활엽수

    • 은행나무도 침엽수임 : 원래 침엽의 형태, 겉씨식물로서 가도관이 있음, 화분 대신 정충(정자) 생산(스스로 움직임), 암수 딴 그루

    • 상록수가 낙엽이 지지 않는 이유? 리놀렌산이 있어 보온효과가 있음

  • 나무의 성별

    • 자웅동주, 자웅이주

    • 암꽃은 위쪽, 수꽃은 아래쪽 : 자가 수분을 막는 효과가 있음

    • 나무는 모계 사회다!

  • 침엽(솔잎)의 숫자

    • 이송엽 : 소나무, 곰솔, 방크스소나무, 구주 소나무

    • 삼송엽 : 리기다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 왕솔나무

    • 오송엽 : 잣나무, 섬잣나무, 스트로프잣나무

    • 침엽 숫자가 왜 나무마다 다를까? 서로 교배가 안되는 특징이 있음

  • 참나무류(oak)의 기본 6대 수종

    • 상수리나무

    • 굴참나무

    • 신갈나무

    • 떡갈나무

    • 갈참나무

    • 졸참나무

    • 특징 : 상수리와 굴참나무는 2년 거치 수정/결실, 그 외에는 1년 

    • 모두 도토리라고 함

    • 상수리는 도토리묵으로 사용

    • 구황작물: 도토리, 옛날에 진상을 했다고 해서 이름이 상수리임

  • 나무의 자기보호, 경쟁 그리고 상호 교감

    • 타감작용( allelopathy) : 타감물질을 분비하여 주위의 다른 동식물과 경쟁, 방어

    •  피톤치드(phytoncide) : 나무가 내뿜는 자기방어 물질, 휘발성 유기화합물(산림욕)

    • 종족 보존을 위함

  • 숲(산림,  forest)란?

    •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

    • 나무, 곤충, 동물들이 어울어져 잇는 총합체

  • 산림의 활용과  국격

    • 세계에서 유일하게 경제발전과 산림녹화 성공국가

    • 산림 치유 활동

    • 인간의 건강증진, 면역력 향상에 기여

    • 생애주기적인 산림 복지로 진화

  • 1911년 우리나라 산림 모습 

    • 황폐화된, 무림목지

    • 1950-60년대  : 연료림 조성, 연료 효율화 노력, 신품종 개발, 산촌 일자리 마련, 화전민 이주, 산림 녹화 10개년 계획, 강한 리더쉽

  • 현재 우리나라 산림의 현황

    • OECD 국가 중 세계 4위 : 산림 비율이 64%, 이용률은 0.5%에 불과

    • 목제 자급율이 낮음

  • 임업의 두가지 중요한 입무

    • 적절한 양의 벌채 이용 개발과 생태계 보존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야 함

  • 나무의 이용과 인간 생활

    • 깨끗하 ㄴ공기, 맑은 물, 아름다운 경관, 산림휴양

    • 목재, 종이, 펄프 등 수요 증가

    • 대형 목조건축이 확산

    • 나무와 철 어떤 것이 더 강할까? 철보다 나무 건축이 더 튼튼함

    • 쉘 실버스타인 (1964년) 아낌없이 주는 나무

      • 함께 그네 놀이->사과->가지->목선->그루터기(밑동)

      • 나무는 행복했을까?

  • 세상에서 가장 높은 목조 건축물은? 노르웨이  mYOSTORNET호텔 : 85.4M, 2019)

  • 대전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 건축 중(목조 이용)

  • 목재건축의 내화성, 내진성, 단열성, 친환경성

    • 숭례문 화재(2008.2)

    • 노트르담 대성당 화제(2019.4)

    • 철은 열전도율이 높아서 열이 오르면 빠르게 번짐

    • 나무는 탄성/반발력이 있어 내진성이 강함

  • 기후변화와 산림파괴

    • 산불, 산사태, 병충해 등 각종 개발행위 등으로 지속적인 산림파괴가 진행

    •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등이 크게 감소하는 상황이 발생

  • 산림을 보호하려면?

    • 나무사랑 의식

    • 올바른 산행문화 정착

    • 안전수칙 준수하기

    • 꾸준한 산림보호 및 정화 활동

    • 쓰레기 되가져오기


Part2 나무의 생명과학

  • 지구 생태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 산림면적: 육지 면적의 31%

  • 자귀나무 : 합환수 혹은 야합수(부부목)라 하여 부부의 금실을 상징, 심신안정, 피로회복, 밤에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잎을 접는 특성이 있음, 7월 쯤 꽃이 핌, 꽃잎으로 차를 만들기도 함

  • 나무도 사랑을 나눈다

    • 연리목 : 가지, 줄기 등이 서로 연결되어 자라는 나무, 사랑나무

    • 원래 나무가 따로 자라다가 하나의 나무처러럼 자람

    • 연리지 : 상처로 인해 가지가 붙은 경우

  • 임목육종학(Tree breeding)

    • 선발, 교잡, 유전검정을 각 세대별로 진행시켜 임목의 형질과 적응성 개량

    • 형질전화, 유저나 도입등을 첨단 BT,  ICT 기술 등을 응용한 신품종 육성

    • 기아와 식량 문제 해결, 기후변화 대응, 생물 다양성 유지 및 증진 기술 개발

    • 한국 기술로 만든 교잡종 나무-형질융합 : 리기테다소나무(리기다소나무+테다소나무)

    • 은백양나무 X(인공교잡) 사시나무 ->(잡종강세) 현사시나무 (잡종포플러) : 현신규 박사 만듬

  • 분자육종(유전체 육종)

    • 유전공학 기법을 이용해 형질을 향상, 새로운 품종 개발

    • 유전자 편집

    • 전통육종 기법(선발, 검정 및 교배)의 소요 시간, 노력 등을 보완

  • 노화 방지 화장품 원료를 생산하는 신품종 포플러

    • 안토시아닌: 세포 노화를 막는 항산화 물질, 피부 노화 방지에 효과 

  • 나무의 게놈(유전체)은 왜 클까?

    • 소나무는 유전체 길이가 사람의 7배, 22Gbp 해당

    • 나무가 오래 살기 위해 크다?

    • 사시나무류 염색체 핵형분석 (19쌍 염색체), 유전체 길이는 대략 480Mbp

  • 나무의 전형성능(totipotency) : 나무의 전체 생성 능력 - 삽목, 조직배양, 줄기세포

  • 인공증식 기술을 이용한 우량묘목 대량 생산

    • 캘러스 조직 배양->인공종자배 유도->클론묘 생산

  •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산삼 배양근 생산 : 뿌리만 계속 배양

  • 식물 세포를 배양해 목재를 만드는 기술

    • 초본 식물의 조직을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목재를 생산하는 연구

    • 셀룰로스&리그닌 추출

    • 배양육과 동일함

  • 산림생명과학의 미래

    • 산림은 생명과학 연구 및 바이오 산업의 보고

      • 뽕나무 오디 :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 헛개나무 열매 : 간 기능 개선 물질 추출

      • 에코 투어, 탄소흡수, 환경정화 능력 향상, 의약품과 화장품 소재 개발

      • 밀원수

  • '나무를 심는 사람' 책 : 1953년 장 지오노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