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08-Wed
"나무와 새", 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과 박찬열 연구관
부제: 나무와 곤충과 새의 소통
박새가 졸참나무 잎은 듬성듬성해서 벌레를 잡기 쉽다.
식물 잎 배열 구조가 동일하지 않는 이유?
나뭇잎과 애벌레, 새의 관계
움직이지 않는 나무를 움직이는 새들
식물의 부드러운 잎 -> 애벌레가 갉아 먹는 시기를 맞춤 -> 식물의 방어 물질 만들어, 애벌레가 덜 먹게 함
벌레에 대한 방어와 새를 유인해서 자손을 번식하는 사이의 균형을 가지고 진화
-주제-
식물은 멀리 이동하는 새를 이용하여 멀리 간다/그리고 고추를 즐겨 먹는 한국인
도토리 배는 배젖보단 탄닌 함량이 많다. 배젖에 많은 탄수화물은 열매 배달 삯인가?
도시에서 번식하는 새는 소음에 대응하기 위해 높은 소리를 내거나 음조를 바꾼다.
코로나 시대에 새들은 노래한다. 경쾌한 자연의 소리 풍경, Soundscape !!!
굴뚝새와 다양한 새들의 소리를 감상해 보자.
[1부] 상호작용 네트워크 (3개 종 이상이 서로 관계를 맺는 것)
포유류는 미각 세포가 많아서 고추의 매운 맛을 잘 느낌
조류는 미각 세포가 적어서 고추를 먹고 멀리까지 씨를 옮김
포유류보다 새들에게 먹히기 위한 고추의 전략 : 매운 맛
(한국인은 매운 것을 잘 먹음)
직바구리와 미국 낙사공 열매(장과, 버찌 등)
도토리의 배는 배젖보다 탄닌 함량이 높음
쓰고, 소화하기 힘든 배를 만들어 도토리가 배 부분을 안먹게 만듬
배젖은 열매를 배달하는 삸으로 해석
(한국인은 세계에서 도토리를 가장 많이 먹는 민족, 지속 가능하지 않지만 보릿 고개의 전통으로 해석)
먹이망 ( Food Web)
따뜻하거나 탄소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따뜻해져서 애벌레의 성장이 빨라짐
봄이 빠르게 오면, 애벌레가 빨리 자라기 때문에 박새의 산란 시기가 빨라짐
졸참나무와 굴참나무가 같이 자라면 왜 좋을까?
박새 새장 (바깥쪽 줄 3개, 안쪽 줄 3개, 물빠진 구멍 특허)
둥지망( Nest Web)
도시의 식물-곤충-조류 간 상호작용 네트워크
[2부]
나무와 환경 그리고 미래도시
미래도시
나뭇잎은 태양광과 물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뿜는다
입자상 물질인 미세먼지를 잡는 나뭇잎의 무기 3종 세트
소나무 잎이 미세먼지를 잘 흡착
도시숲의 미세먼지 저감 모델링
횡단보도의 그늘 양산과 나무 한 그루가 주는 시원함의 차이는 무엇인가?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꿀벌의 네비게이션은 왜 작동하지 않는가?
미래도시의 건물은 식물의 어떤 구조를 닮고자 하는 걸까?
2022-06-08-Wed
"나무와 새", 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과 박찬열 연구관
부제: 나무와 곤충과 새의 소통
박새가 졸참나무 잎은 듬성듬성해서 벌레를 잡기 쉽다.
식물 잎 배열 구조가 동일하지 않는 이유?
나뭇잎과 애벌레, 새의 관계
움직이지 않는 나무를 움직이는 새들
식물의 부드러운 잎 -> 애벌레가 갉아 먹는 시기를 맞춤 -> 식물의 방어 물질 만들어, 애벌레가 덜 먹게 함
벌레에 대한 방어와 새를 유인해서 자손을 번식하는 사이의 균형을 가지고 진화
-주제-
식물은 멀리 이동하는 새를 이용하여 멀리 간다/그리고 고추를 즐겨 먹는 한국인
도토리 배는 배젖보단 탄닌 함량이 많다. 배젖에 많은 탄수화물은 열매 배달 삯인가?
도시에서 번식하는 새는 소음에 대응하기 위해 높은 소리를 내거나 음조를 바꾼다.
코로나 시대에 새들은 노래한다. 경쾌한 자연의 소리 풍경, Soundscape !!!
굴뚝새와 다양한 새들의 소리를 감상해 보자.
[1부] 상호작용 네트워크 (3개 종 이상이 서로 관계를 맺는 것)
포유류는 미각 세포가 많아서 고추의 매운 맛을 잘 느낌
조류는 미각 세포가 적어서 고추를 먹고 멀리까지 씨를 옮김
포유류보다 새들에게 먹히기 위한 고추의 전략 : 매운 맛
(한국인은 매운 것을 잘 먹음)
직바구리와 미국 낙사공 열매(장과, 버찌 등)
껍질을 쉽게 벗겨 종자의 발아율을 높임
식물은 새들을 유인하는 전력을 이용해 종자를 전파
도토리의 배는 배젖보다 탄닌 함량이 높음
쓰고, 소화하기 힘든 배를 만들어 도토리가 배 부분을 안먹게 만듬
배젖은 열매를 배달하는 삸으로 해석
(한국인은 세계에서 도토리를 가장 많이 먹는 민족, 지속 가능하지 않지만 보릿 고개의 전통으로 해석)
먹이망 ( Food Web)
따뜻하거나 탄소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따뜻해져서 애벌레의 성장이 빨라짐
봄이 빠르게 오면, 애벌레가 빨리 자라기 때문에 박새의 산란 시기가 빨라짐
졸참나무와 굴참나무가 같이 자라면 왜 좋을까?
졸참나무(빽빽)-다양한 크기의 유충
굴참나무(듬성)-크기가 작은 유충, 딱정벌레류, 딱딱한 정도가 높음, 탄닌 함량이 높음 (새가 먹기 좋음)
새가 먹기 힘든 식물 잎 구조의 정량 분석
박새 새장 (바깥쪽 줄 3개, 안쪽 줄 3개, 물빠진 구멍 특허)
새들의 세력권 번식송
소음에 적응하여 경계에서 더 높고, 변조가 있는 음절로 변함
집빠귀 굴뚝새(숲속의 세레나대)
Soundscape : 소리의 풍경
둥지망( Nest Web)
새집과 둥지는 다름
둥지는 인간의 태반과 마찬가지임
둥지는 알을 품어주는 곳이고, 잠은 나뭇 가지에서 잠
둥지를 만드는 과정
꾀꼬리 둥지 짓기 : 해먹 형태로 만듬
붉은머리 오목눈이 둥지 짓기
딱따구리가 둥지를 만들면, 다른 새들이 이용하기도 한다.
도시의 식물-곤충-조류 간 상호작용 네트워크
[2부]
나무와 환경 그리고 미래도시
미래도시
나뭇잎은 태양광과 물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뿜는다
도시숲
입자상 물질인 미세먼지를 잡는 나뭇잎의 무기 3종 세트
소나무 잎이 미세먼지를 잘 흡착
도시숲의 미세먼지 저감 모델링
횡단보도의 그늘 양산과 나무 한 그루가 주는 시원함의 차이는 무엇인가?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꿀벌의 네비게이션은 왜 작동하지 않는가?
태양과 꽃의 상대적 각도로 위치를 잡아 8자춤으로 상호 소통하는데 그것이 교란되는 것으로 보임
미래도시의 건물은 식물의 어떤 구조를 닮고자 하는 걸까?
도시 숲의 다양한 혜택 : 맞춤형, 관측기반, 지혜기반,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