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25 19:30-21:30
생명행성 1강 "좋은 균, 나쁜 균, 이상한 균", 생명공학연구원 류충민 센터장(별명:벌레충)
부재: 식물과 미생물의 밀당 이야기
Q1:식물이 움직일 수 없음에도 10억년을 살아 있었는데, 그 이유는?
Q1. 미생물은 식물과 동물에게 어떤 역할을 할까?
홀로바이옴(Holobiom) : 세포공생설(Endosymbiosis theory), 린 마굴리스
유기체(고등생물)의 세포 속에 미생물이 존재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식물은 바이러스와 곰팡이와 상호 작용하면서 10억년을 살았다고 봄
생명체 연합을 하나의 생명체로 인식하기를 바람
생태적 지위 (niche)
균=미생물(micro organism)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결정체
Q2:식물이 있기 전인 35억 년 전에 미생물이 존재했는데, 지금은 어디에 있을까?
모든 곳에 있다.
해안 열수구나 산소가 없는 곳에도 있음
Q3: 지구에는 좋은 균이 많을까 나쁜 균이 많을까?
Q4: 왜 식물병원균과 싸워야 하는가?
좋은 균과 나쁜 균과의 전쟁
2022-05-25 19:30-21:30
생명행성 1강 "좋은 균, 나쁜 균, 이상한 균", 생명공학연구원 류충민 센터장(별명:벌레충)
부재: 식물과 미생물의 밀당 이야기
Q1:식물이 움직일 수 없음에도 10억년을 살아 있었는데, 그 이유는?
Q1. 미생물은 식물과 동물에게 어떤 역할을 할까?
홀로바이옴(Holobiom) : 세포공생설(Endosymbiosis theory), 린 마굴리스
서로 다른 미생물들이 공존하다가 진핵생물로 진화했다는 가설
식물과 미생물을 나누지 않고 하나의 생명체로 봄
유기체(고등생물)의 세포 속에 미생물이 존재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식물은 바이러스와 곰팡이와 상호 작용하면서 10억년을 살았다고 봄
생명체 연합을 하나의 생명체로 인식하기를 바람
생태적 지위 (niche)
공존하거나 경쟁하거나 멸종하거나
균=미생물(micro organism)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결정체
곰팡이(진균): 세균보다 100~1000배 큼
세균: 바이러스보다 50배 큼
바이러스: COVID-19
Q2:식물이 있기 전인 35억 년 전에 미생물이 존재했는데, 지금은 어디에 있을까?
모든 곳에 있다.
해안 열수구나 산소가 없는 곳에도 있음
Q3: 지구에는 좋은 균이 많을까 나쁜 균이 많을까?
부생균과 기생균
지구상에 병원균을 일으키는 미생물은 매우 작음
세균(박테리아)
균의 역할 : 분해
식물과 균의 대화
아일랜드 대기근 (1845-1850) 감자역병으로 기근 발생, 800,000명 사망, 200만명 미국으로 이주
유주제(움직이는 형태의 원생 생물)를 만들어
박테리아는 1초에 25마이크로미터를 움직임
감자 역병의 원인균은 1초에 150마이크로미터(5.4cm/h) 움직임
Q4: 왜 식물병원균과 싸워야 하는가?
녹색혁명 (1960년대)이 가능했던 이유는 1)질소 비료 개발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용 농약 개발
좋은 균과 나쁜 균과의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