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 자유게시판

[새통사-228차] 공공출신 중년의 창업 이야기 - 정성창 에디슨 랩 대표 강연 요약

강현주
2021-12-21
조회수 437

공공출신 중년의 창업 이야기 - 정성창 에디슨 랩 대표

1.나이와 창업

  • 실제 4~50대 창업자가 많음 (미국, 우리나라 동일)

  • 고속 성장 기업은 4~50대 창업자가 더 많다는 자료가 있음, 생존률도 높음

  •  TSMC Morris Chang 56  세에 창업

  • 50대 창업의 장점

    • 경험

    • 네트워크

    • 자금


2.준비가 없이 창업을 했다는 말을 주변으로 듣지만 사후 고찰해보면 준비가 없었던 것도 아니다.

  • 공무원 생활하다가 2015년 일본 대사관으로 있을 때, 드라마  '이 작은 밸브가 없으면 로켓은 날 수 없다' (20%이상 시청률)보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컨텐츠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함

  • 2017년 여름, '기업가 에디슨' (책) -> 기업  CEO 관점에서의 에디슨을 처음 접함

  • 에디슨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되면서 생각의 확장

  • 질문의 확장 : 에디슨 한 사람인가? 아니면 어떤 현상의 상징인가? 대중 문화는 사회 현상을 반영한 것인가?

  • '세계는 발명가 시대로 가고 있다'는 기사를 보면서 원문으로 공부하기 시작 함

  •  발명가 CEO  전성시대 = 요즘 기술 창업의  CEO  

  • 우리 사회에서 창업을 하는 아이템에서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는가?  tech CEO  가능성의 의미가 우리나라에는 없는 것 같음

  • 미국의 발명가는 (inventor : 발명 창업 기업가 정신)  우리나라 '발명가'와는 의미의 폭이 다름

  • Joy(영화) 여성 발명가 이야기 :  single mom 이 150개의 발명으로  CEO 성공

  •  (영화) The Current war :에디슨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

  • (영화)   Tesla

  •  Edison 과 Tesla 의 문화 코드 : 21세기 문화 현상이라는 생각을 함 ==> 다른 사람에게는 안보이는 코드를 읽음


3.퇴직에서 창업까지

  • 직장을 다니며 책을 쓰고자 했으나, 쓰지 못함

  • 지금 안 하면,  영원히 못할 것 같아 (퇴직하고 창업 하는 사람들은 이런 것 하나는 가지고 있다.)퇴직하고 해볼 생각을 함

  • 일본학자들의 공부회에 참석 경험으로 도룡 포럼 -창업 포럼(중기부 창업 지원) 참여

  • 2019.12 퇴직, 사무실 구하기

    • 대표 기준이 아니라 직원의 출퇴근, 식사 고려 -> 만년동

    • 지식재산과 혁신생태계 연구소

    • 에디슨 집필에 집중, 기고문 시작

    • '스타트업   CEO  에디슨'(2020.12) 책 출간

    • You tube  시작, 웹툰 작가 찾아 3만리 

    • 대전 웹툰 캠퍼스 -> 한국판 기술 창업 웹툰을 시작(직접 콘티 영상을 만들어 보여주자 웹툰 작가를 구할 수 있었음)

  • 정부 보조금 지원 사업 참여 (3연속 실패)

    • 스타트 업 문화가 필요하다고 주장. 정책과 사업 혼동 (정책 경험이 독이 됨)

    • 경쟁률이 50대 1 이상으로 사업력이 상당 (반성 없이 심사 위원을 비판)

    • 콘텐츠 제작과 사업을 혼동

  • 대전 콘텐츠 지원 센터 입주

    • 직원이 '대표님, 계획서가 정책 보고서 같아요.'라고 지적

    • Tech  분야 자문을 받음 (지인의 검토를 그만둠)-> 콘텐츠 분야에 자문을 받기 시작 함 (모르는 사람에 솔직한 검토 내용을 받을 기회)

    • 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 수주 성공

  • 초기 방황한 이유

    • 시장을 외면 : 본인 관심사에만 집중 (  Pivoting 중) -> 나 중심적 사고

    • 정부 지원 사업에 고배 마신 이유 -> 심사 위원과 말 다툼, 자존심, 시장 마인드 부재 등 (비지니스가 아니라 공공성의 당위성을 주장)

    • 콘텐츠, 예술에 대한 이해 부족 (학습, 인재로 보완)

      • 알맹이가 중요하다. 표현은 쉽게 될 것

      • 그림이나 영상, 음악, 성우 등으로 알맹이를 표현하는 것은 또 다른 일 (예술에 대한 이해 부족)

  • 40대 후반부터 창업 준비 : 10년 준비

    • 주 특기(정성창 대표=>에디슨), 전문성 : 일하면서 축적

    • It takes two to tango : 혼자서는 무리, 약점 보완 - 기술, 세대(꼰대와 청년) 등 보완 가능한 사람이 필요

    • 폭 넓은 시야 : 직장을 넘어선 네트워크를 인위적으로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 준비도 필요하지만, 궁하면 통하는 경우가 있다. 

4. 창업하며 느낀 점

    • 나는 IT 기술에 약함

    • 직원(2~30대)과의 세대 차이 -> 보완 파트너가 필요

    • 공공분야에 있는 사람은 네트워크가 협소한 경향이 있음

5.Q&A

  •  '변두리 로켓'

  • 교육 컨텐츠를 많이 만들고 있음. (발명, 창업을 알기 쉽게 전달하는 컨텐츠 제작)

  • 기술보조기금 : 1억~3억까지  지원해 줌

  • 문화 컨텐츠 사업에서 회사 매출이 발생해서 보여 줄게 생기기 시작하면 도움이 됨

  • 초기 법인 자금 2천 만원 -> 법인 자금 5천만원 (자기 리스크 테이킹)

  • 가까운 사람에게 미래 비전을 상대에게 보여주는 게 도움이 됨

  • 창업과 기업가 정신, 지재권, 미국 등 기업 사례, 교육 컨텐츠

  • 미래 디자인 포럼, 교습법에 관심이 있음. 추후 논의 ( 함진호)

  • 에디슨랩 - 컨텐츠 만들고 배포

  • 기업 Case Study 등 리네상스에서 현대까지 자기 운명을  해석하고 개척한 사람 이야기를 컨텐츠로 만들고 싶음

  • 어렸을 때 읽은 위인전에 갖혀 버리는 문제가 있음 -> 어른이 되면 위인전을 다시 읽어야 함

  • 과학을 엔터테인먼트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 20년 후 디지털 모습? 우리가 준비, 국가가 준비해야 할 방향을 고민. 메타버스 체험기 - 하원규

  • 두려움은 없는가? 두려움은 없다. 비지니스 입장에서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 디지털 텍스트에서 영상의 시대로 넘어간다. (영상에서 체험으로 넘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 하원규)

    • 플랫폼 경쟁에서 콘텐츠 제공 시대로 갈 것이다. 

    • 새로운 지식이 많이 나오는 시대와 콘텐츠 비지니스는 잘 맞는 것 같다. 

    • 늦게 시작했기 때문에 변화가 쉽다.

  • 디지털 대자연과 물리적( Atomic)  대자연을 연결 시켜줄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하원규)

  •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본 사람이 창업을 한다. (정성창)

  • ETRI 이미지 데이터를 넣고 스토리를 넣으면 웹툰을 만들어주는 기술 (이순석 확인)

  • KAIST 문화 컨텐츠 대학원에서 자동 컨텐츠 제작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성단근)

  • 창업의 생태계와 요소, 연결 고리점 등을 고민해보면 좋겠음 (성단근)

  • 콘텐츠는 보는 사람의 눈높이가 가장 중요해 보임 (성단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