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전은 어떤 도시인가요?
노잼도시
산성의 도시
교통의 중심지
과학의 도시
평화와 인권의 도시에 대한 갈망이 있음
2) 사진 한 장
총알과 함께 탄피가 죽은 사람 옆에서 나옴(근접 학살, 확인 사살) -> 국가의 역할을 고민하게 한 사진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 산내 골령골 : 35m 봉분, 1학살지 -> 7학살지까지 1000m
영국 엘렌위크 " Rangwul Death Valley": 6개의 구덩이, 가장 긴 구덩이가 180m, 90m
3) 골로 가다
4)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 (진실화해위원회 종합 보고서 III)
제주 4.3사건, 여순 사건 관련 재소자, 정치사상범이 대전 골령골 희생자
2만5천~3만명(제주도 인구 10%), 2000여명의 군법재판을 받고 육지로 수감(7년형 300명 가량이 대전형무소로 이감)
4.3평화 기념관, 강령비 : 대전지역 행방불명 희생자 위령비 (제주와의 아픈 인연)
북제주군(갑,을)선거구 무효 -> 강경 진압 (육지 군대 파견) -> 여수 14연대 군인에게 명령-> 사전에 봉기를 일으켜 지리산으로 간다. (동족상잔 결사 반대, 미군 즉시 철퇴)->여순사건(여순항쟁), 여수, 순천, 광양, 구례로 확산 -> 7개 연대가 파견 (대전 2 연대 포함)-> 대전과 여수,순천과의 아픈 고리 -> 대전에 '임시군법재판소'를 설치 -> 여순 사건 정치, 사상범을 수용 : 700여명 -> 피고 417명 중 224명 사형 선고, 며칠만에 55명 형을 집행 -> 미국보고서에서는 1948년 11월 29일 1700명이 재판에 회부, 1166명 유죄 확정 -> 866명 사형 선고 (67명 사형 집행 기록)
대전감옥 (정치범 수감 목적으로 형무소를 만듬)
유사시 감옥 -> 안전한 후방으로 이감시키거나 가석방을 시켜야 함
공주형무소 재소자 및 국민보도연맹 사건 희생자(왕촌 살구쟁이 학살지)
5) 국가보안법[시행 1948.12.1][법률 제 10호, 2014.1.21 개정
6) 산내 민간인 학살 사건 - 1차 학살
7) 상대역 제도(Counterpart system) :한국미군사고문단은 한국군의 편성, 작전, 교육훈련, 군수업무 등에 활동의 성과/운영방식을 한국군에 적용
8) 전쟁에서 죽음
9) 대전에서 평화와 인권 통일 교육을 위한 노력
10) 사실을 알리고자 하는 노력들
다큐 :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골령골 이야기 58분 다큐멘터리 (대전통)
뉴스타파 목격자들“골령골 이야기”2015.6.15.
KBS 대전 UHD 6.25 특별기획 ‘골령골 묻혀버린 진실’ 2021.6.15., 6.22
마당극패 우금치 ‘적벽대전’(2020)
평화로드씨어터 ‘달맞이꽃’(2019)
‘묘꽃’ 연극, 골령 뮤지컬,(2021)
극단 어썸시어터 창작뮤지컬 ‘골령’ (2021.11.25.-28, 12.2-4)
2024년 완공 예정으로 평화 공원 구축 중
Q&A는 함께하지 못했습니다.
1) 대전은 어떤 도시인가요?
노잼도시
산성의 도시
교통의 중심지
과학의 도시
평화와 인권의 도시에 대한 갈망이 있음
2) 사진 한 장
총알과 함께 탄피가 죽은 사람 옆에서 나옴(근접 학살, 확인 사살) -> 국가의 역할을 고민하게 한 사진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 산내 골령골 : 35m 봉분, 1학살지 -> 7학살지까지 1000m
영국 엘렌위크 " Rangwul Death Valley": 6개의 구덩이, 가장 긴 구덩이가 180m, 90m
3) 골로 가다
골짜기로 끌고 가서 죽인다는 뜻이 있음
전쟁시에 골짜기는 외부와 단절되어 있어 은폐장소로 쓰임
바닷가에서는 절벽, 섬, 바다에서 학살
형무소 제소자를 바다에서 학살 사건으로 위령제를 지냄 (물먹인다.유래)
4)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 (진실화해위원회 종합 보고서 III)
제주 4.3사건, 여순 사건 관련 재소자, 정치사상범이 대전 골령골 희생자
2만5천~3만명(제주도 인구 10%), 2000여명의 군법재판을 받고 육지로 수감(7년형 300명 가량이 대전형무소로 이감)
4.3평화 기념관, 강령비 : 대전지역 행방불명 희생자 위령비 (제주와의 아픈 인연)
북제주군(갑,을)선거구 무효 -> 강경 진압 (육지 군대 파견) -> 여수 14연대 군인에게 명령-> 사전에 봉기를 일으켜 지리산으로 간다. (동족상잔 결사 반대, 미군 즉시 철퇴)->여순사건(여순항쟁), 여수, 순천, 광양, 구례로 확산 -> 7개 연대가 파견 (대전 2 연대 포함)-> 대전과 여수,순천과의 아픈 고리 -> 대전에 '임시군법재판소'를 설치 -> 여순 사건 정치, 사상범을 수용 : 700여명 -> 피고 417명 중 224명 사형 선고, 며칠만에 55명 형을 집행 -> 미국보고서에서는 1948년 11월 29일 1700명이 재판에 회부, 1166명 유죄 확정 -> 866명 사형 선고 (67명 사형 집행 기록)
대전감옥 (정치범 수감 목적으로 형무소를 만듬)
유사시 감옥 -> 안전한 후방으로 이감시키거나 가석방을 시켜야 함
공주형무소 재소자 및 국민보도연맹 사건 희생자(왕촌 살구쟁이 학살지)
5) 국가보안법[시행 1948.12.1][법률 제 10호, 2014.1.21 개정
국민보도연맹
6) 산내 민간인 학살 사건 - 1차 학살
보도연맹 및 요시찰인, 여순사건 관련 재소자가 사형
7) 상대역 제도(Counterpart system) :한국미군사고문단은 한국군의 편성, 작전, 교육훈련, 군수업무 등에 활동의 성과/운영방식을 한국군에 적용
8) 전쟁에서 죽음
국가를 위한 죽음과 국가에 의한 죽음
9) 대전에서 평화와 인권 통일 교육을 위한 노력
부적절한 사람이 국립묘지에 안장되어있는 문제는 해결해야 함
국가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은 어렵다. -> 분단 극복이 전쟁을 방지
또 다른 평화통일 교육
10) 사실을 알리고자 하는 노력들
다큐 :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골령골 이야기 58분 다큐멘터리 (대전통)
뉴스타파 목격자들“골령골 이야기”2015.6.15.
KBS 대전 UHD 6.25 특별기획 ‘골령골 묻혀버린 진실’ 2021.6.15., 6.22
마당극패 우금치 ‘적벽대전’(2020)
평화로드씨어터 ‘달맞이꽃’(2019)
‘묘꽃’ 연극, 골령 뮤지컬,(2021)
극단 어썸시어터 창작뮤지컬 ‘골령’ (2021.11.25.-28, 12.2-4)
2024년 완공 예정으로 평화 공원 구축 중
Q&A는 함께하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