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 자유게시판

[새통사-241차] 동남아 경제를 보는 눈 고려대 박번순 교수 강연요약

강현주
2022-06-14
조회수 268

[ 늦게 참석해서, 앞부분은 다음에 동영상 시청 후 업데이트 예정]


  1. 동남아를 보는 눈

  • 1989년(대우 김우중 회장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

    • 선의의 행동도 국가와 민족에 손해가 되기도 하고, 

    • 자기 욕심을 차린 것이 국가를 성공으로 이끌 수도 있다.

    • 1985년 이후 세계의 돈이 동아시아로 몰림

  •  1993년 동남아 외환위기

    • 태국에서 시작

    • 말레이시아 수상(마하티르)이 3개월 간 휴가를 떠난 사이에 태국 외환위기 발발

    • 초기에 유태인의 음모를 주장을 하기도 함

    • 성균관에서는 한국의 외환위기는 윤리와 도덕의 추락을 이유로 들기로 했음

    • 쿠르그만, 크로니 캐피탈리즘, 정경유착 등 과도하게 기업을 봐주기에서 이유를 찾기도 함

  • 외환위기 이후 중국으로 기업 진출

    • 중국인 노동자의 근면성

  • 2005년 이후

    • 베트남 진출 활성화

  • 문화 컨텐츠 시장으로써의 동남아

    • 관광, 인적 교류가 많음 

    • BTS나 블랙핑크 : "BTS가 군대에 가야 하는가?"를 수업에서 질문

    • BTS 콘서트가 1조 2천 억 원의 경제 효과

    • 동남아의 한국 문화 컨텐츠 소비를 가장 열렬하게 함

  • 한국에 오는 노동력, 이민자, 다문화 가정

  • 2017년 11월 신남방정책 발표

    • 미국, 중국, 일본 뿐만 아니라 동남아 정책 필요성 인지

    • 사람 공동체, 평화 공동체, 번영 공동체를 만들자!

    • 신남방정책+ : 포스트 코로나 포괄적 


앞으로 동남아 역할

  • 베트남이 거시경제 측면에서 싱가포르를 추월

  • 선발 4개 동남아  : 수입 대체 공업화, 외국 자본 활용, 동남아 자체에서 만들어진 세계적인 기업이 없음

  • 다국적 기업이나 화교 기업이 장악

  • 동남아는 제조업 경쟁력을 잃고 있음, 탈공업화

  • 미중 갈등으로 글로벌 체인이 변할 것이라고  보고 있지만 아직 두고 볼일로 보임

  • 동남아 경제 발전 모델이 바껴야 함


Q&A

-질문) 안보와 경제를 위해 우리나라는 미국과 중국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면서 눈치를 많이 보고있는데 어떤 학자는 경제적 혜택을 위해 더이상 중국에 눈치를 않보고 대신 아세안에 중국에 걸맞는 규모의 경제적 혜택을 볼수 있다고 하는데 선생님께서 보기에 이게 가능한지? 그리고 어느 산업분야가 가장 가능성이 높은지 ?

  • 동남아가 중국을 대체하기 보다는 보완하는 시장의 역할을 해야할 수 있다. value chain을 성숙시킬 필요가 있음.

  • 자동차 분야가 가장 경쟁력이 있어 보임

중진국 함정 : 제조업 상품 경쟁력이 약함, 1인당 소득이 제자리

한국베트남협회(신종삼) : 30주년 행사 준비 중

국가차원에서 우수한 동남아 학생 지원 프로그램 운영 (성단근)

동남아를 보는 개인의 역할 : 겸손한 마음 필요 (곽상수)

신남방정책 예: 국제 결혼, 장학생, 등 (한기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