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 자유게시판

[새통사-238차] 듣기의 놀라움 (주)디지털엔아날로그 이승목 대표 강연요약

강현주
2022-05-17
조회수 186

<들어가면서>


토마스 만의 <파우스트 박사> 중에서

세상의 모든 사물이 어떻게든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함 - 이승목 대표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다. 

  • 과학과 예술

  • 생물과 물질-찰스 다윈

  • 물질과 시공간-알베르트 아인슈타인


the Beatles

  • EMI가 Beatles와 계약하면서 연구 지원 - TR-computer제조, CT-scanner 1979 노벨생리의학상, Apple 저작권

    영국의 음악

    • Haydn 1792.3.23 : 영국에 가서 첫 연주로 런던을 흔들어 놓음(놀람교향곡), 교향곡 100곡 다작

      • 음악이 사람들을 놀라게 하지만 안전하다는 사실을 가지고 음악을 만듬

      • 놀람의 장치를 음악에 놓음

    • Muddy Waters : 미국에서 재즈를 했다가 영국으로 가서 환대를 받음

    • G.Handel : 독일 궁정 작곡가 였다가 영국에서 

    • JS Bach 

  • 바로크 음악은 감정의 기복이 없음, 고전음악의 특징은 인간의감정을 표현해야 한다고 함

  • 고전주의 음악 대가 베토벤은 자기 명성을 위해 곡을 썼음, 9곡

General Pause

  • Pause : 작곡가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대감을 무너뜨리는 방법

  • 공백과 쉼표

    • Picasso: 중요한 것은 여백이다

    • Debussy: 음악은 음표사이의 공간이다.

    • Schnabel: 내가 음표를 가장 아름답게 친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쉼표를 가장 잘 연주한다고는 말할 수 있다. 

    • 마일즈 데이비스: 가장 중요한 부분이 음들 사이의 빈 공간, 즉 한 음과 다음 음 사이에 두는 '공기'다음 음을 언제 연주할지 정확히 알고 청자가 그것을 기대할 시간을 배려하는 것

    • Bruckner Symphony #2 여백을 많이 사용

    • T ....

왜 놀라는가?

  • Sweet Anticipation by David Huron (책-심리학자)

  • ITPRA

    • I : 상상단계에서 우리는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떠올리면서 우리가 느낄 감정과 보일 반응을 상상한다. 

    • T: 긴장이 고조된다. 

    • P : 사건이 시작되고 나면 우리의 기대와 비교한다.

    • R : 학습한 대로 반응을 한다.

    • A: 알고 보니 어떤 위험도 없으며 도주 반사는 터무니 없이 지나친 반응이었다는 판단에 이른다.

뇌가 소리를 구성하는 방식

  • 우리의 뇌는 외부세계를 빠짐없이 복사하는가?

  • 각자는 다른 이가 구성한 외부세계를 똑같이 재현하는가?

  • 청각은 척수(중추신경)으로 바로 간다.

우리는 얼마나 외부세계를 정확히 표상하는가?

  • 듣기의 비선형성: 작은 스피커에서 큰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유

    • 핸드폰 스마트폰은 400Hz, 800Hz를 재생못한다. 1KHz 이상을 재생한다. 

    • 사람은 청각에서 최대공약수에 해당하는 interval을 듣는 원리를 이용하여 윗쪽음만 재생해도 사람은 들을 수 있게 된다. 

  • 우리만 그러한가? Peter Janata의 경우 

    • 올빼미로 실험하여 사람과 같은 청각계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

  • 머리 속에 흐르는 음악

    • 문장보다 음악을 떠올리는 것이 쉬움.

    • 빨리 재생도 가능

    • 음악적 데이터를 어떻게 꺼내는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음

  • 바이올린의 비브라토

    • 옛날보다 현대에 바이올린 비브라토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자극이 있다가 없다가를 반복할 때, 더 잘 느낀다. 

    • 축음기에서 바이올린 고역을 녹음이 안됨. 바이올린을 비브라토를 넣으니 녹음이 가능했다. (제임스 레가탄, 음악학자, 기타 연주)

  • 착시와 비슷한 착청 현상

    • 음을 다섯개 조합해서 계속 내려가거나 올라가게 함 (Shappard tone, Risset tone)

    • 비트를 계속 빨라지는 것처럼 착각하게 마듬(Risset Endless Beat)

    • 한스 짐보(Hans Zimmer), 배트맨 모터 사이클이 계속 상승하는하게 함.  interstellar에서  음

    • Mowg 이성현 : 버닝 영화, 긴장을 고도 시키는 음 - 계속 상승하는 음

  • 음 높이의 선호

    • Tritone by D.Deutch

    • 음높이에 대한 선호도

    • 언어와의 연관성, 부모와의 연관성

  • Camille, 죽음의 무덤

    • 악마의 화성 (도, 파#), 파#-가장 사람들의 귀를 거슬리게하는 화음 : 사람을 긴장시킴

  • 절대음감, 절대음고 Perfect Pitch

    • 절대음고의 능력이란 ? 음을 듣자말자 음의 높이를 맞추는 능력, 어릴 때부터 교육시키면 남아 있을 수 있는 능력

    • 음악에서 상대의 감정을 읽는 것을 '감상 포인트'로

    • 자니 미첼 : 악보도 못보고 음정을 틀리는데, 사람들의 감정을 흔들어 놓는 능력이 있어 노래를 잘함

  • 오케스트라 배치

    • 바이올린이 앞쪽에 모아 두는 이유 : 레코드 산업과 관련이 있음. (바이올린이 녹음이 잘 안되서 앞쪽에 모아서 배치) 

    • 차이코프스키 비창 4악장, 제1 바이올린, 제2 바이올린이 음이 엇갈림으로 동구권은 오른쪽과 왼쪽이 입체적이고 다이나믹하게 들림

  • 스메타나 나의 조국 중 블타바 Vltava : 보헤미아 체코 나의 조국 몰다우강

    • 인간 심리에 대해서도 깊게 생각

    • 사람은 짝수 배음(플루트)이 많으면 따뜻하다고 느끼고, 홀수 배열(클라리넷)이 많으면 차가움을 느낌

    • 소자의 특성에 따라 진공관앰프는 짝수 배음, 티알앰프는 홀수 배음(차가움)

    • Smetana

언어와 음악

  • 인간의 뇌는 언어 규칙 위반에 반응할 때와 아주 유사한 방법으로 음악 규칙 위반에 반응한다. -슈테판 퀼시

    • 심지어 음치들도!

  • 몇 몇 음악적 구조들을 처리하는 능력은 신생아에게도 사전 배선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다니엘라 페라니, 마리아 크리스티나 사쿠만의 실험

    • 아이들은 어떤 언어라도 배울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떤 음악 문화에 대해서도 개방적이다. 

    • 필요없다고 판단되는 능력은 버린다. - 어른들이 옛날 음악을 듣는 것

음에 대한 단기기억력

  • 단기기억력: 수학에서도 인생에서도 중요한...

  • 음고의 기억장소와 언어의 기억장소

마음 읽기

  • fMRI data로 음을 식별

  • 마음 속에 흐르는 음악을 알아내는 방법

공감각

  • 소리와 빛이 분리되지 않아 공감각을 유지

  • 림스키 코르사코프 : 음악이 색체감이 있음

청각의 손실

  • 베토벤이 청각을 잃었더라도 음악을 그릴 수 있는 능력이 있었음.

  • 라벨의 볼레로에서 음의 세기를 다르게 하여 작곡

귓바퀴의 용기

  • 소리를 모으는 역할

  • 귓바퀴의 주름 소리의 진원지의 높낮이를 알 수 있게 함

  • 오른쪽과 왼쪽귀는 시간차로 알게 됨

  • 뇌의 가소성 : 뇌는 부단히 자연(환경)에 적응한다.

인공 청각장치

  • 인공달팽이관: 정교하지 않아도 몇 년 지나면 뇌의 가소성에 따라 알아듣게 됨


Q&A

  • 보청기는 하는 것이 좋음, 안경과 같음

  • 돌비 아트모스

  • 사운드바는 비싼 장난감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