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산업혁명 착상과 기본형& 하라리 관점의 4차산업혁명 이후 진로
사피엔스&호모데우스
<들어가며>
짝사랑한다는 것은 에너지의 원천입니다.
테크놀로지와 사회간의 샤헤일루의 길을 걷다가 정년 퇴직
저서 '제4차 산업혁명'
1993년 '정보고속도로'구상
2010년 공공기관을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초고속국가정보통신망' 구축운영
u-Korea : 초연결하는 사이버 물리융합(제3공간)고속도로
영화 아바타를 통해 본 제4차 산업혁명 : 초유기체(Superorganism)
2030년대 http://designswarm.com '몽유도원도' : 삼라만상이 연결된 만물 인터넷 시대의 일상
제4차 산업혁명
제2부 유발 하라리 관점의 '4차 산업혁명 이후 진로'
유발 하라리 인류 3부작 전체 구조
과거:사피엔스 :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 (문명의 구조와 인류의 행복)
미래:호모데우스 : 우리가 어디로 가는지 알려준다. (테크놀로지와 사피엔스의 미래)
현재: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 더 나은 오늘은 어떻게 가능한가? (정치적 도전, 탈실, 회복탄력성, 기술적 도전
사피엔스
인간은 용광로에서 막 꺼낸 녹은 유리 덩어리 상태로 자궁에서 사온다. => 놀라울 정도로 다양하게 가공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사피엔스만이 역사적 혀상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바로 여기에 인류가 지구상에서 성공한 근본 이유이다.
인간의 본질은 "허구를 만들고 그것을 믿는 능력"에 있다.
과학혁명의 정점(특이점)은 미음과 뇌, 인간의 몸을 재창조하여 신을 지향한다.
과학혁명의 전개와 인간의 욕망 : 무지의 자각->찾아나서다->'앎'으로 세상을 바꾸다. ->스스로 신이 되고자 한다. => 지배와 피지배이 구조화, 녹색 지구 행성의 위기, 과학/제국/자본 간 대동맹의 되먹임 고리 강화
호모데우스
20세기 : 모든 사람에게 예외 없이 풍요, 건강, 평화의 보편적 표준을 보장
21세기 : 불명, 영성 행복 지향
호모데우스로 진화하는 학문들 : 생명공학->제2의 인지혁명, 사이보그 공학->복수의 장소에 존재하는 것, 비유기체 공학(AI)의 조합-> 완전히 비유기적인 생물(가상세계와 현실세계)
과학은 모든 것을 아우리는 하나로 수렴 "유기체는 알고리즘, 생명은 데이터 처리"
[중간 요약 추후 작성]
Q&A
이순석 Question
유발 하라리 : 중세군사학을 공부한 인류학자
뇌과학에서 사람과 포유류를 구별하는데, 신경망의 연결도가 극적인 차이가 있었음
->인간이 연결도를 떨어지면서, 우연성을 받아 들일 수 있는 개체로 발전했다.
의사, 변호사, 검사와 같은 것을 인간으로 볼 것 인가? 기능적인 것으로 볼 것인가?
인간을 알고리즘으로 판단하는데, 환경에 종속적인 상황에 적응해 나가는 후성유전학 측면이 결려되어 보임.
지능과 의식이 분리되는 것을 느끼지만, 딥러닝 방식은 인간이 알고 있는 방식으로 가르치고 있지 않음.
데이터의 차이를 인공지능이 방식을 획득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음.
종교의 경우, 기독교인들은 '내 속에 신이 있다'로 하고 있는데,
모든 미디어를 확장되고있다면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과 인식하는 사람이 구분되어 있다.
현시대에 사고 방식이 바뀌고 있어 종의 분화가 벌써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생명이 무엇인가?
유발하라리는 너무 선형적으로 생각하고 있지 않은가 하는 생각을 해봄
한기철 Comment
새로운 삶을 쫒아가는 그룹과 종전의 삶을 그대로 사는 사람으로 종을 구분하는 것으로 보임
새로운 문맹자 vs. 포노사피엔스
성단근 Comment
Global Connectivity : 모국어로 세계를 거느릴 수 있음.
5차산업혁명? : 인간이 손님인가 주인인가 의문. : 인간을 주인이라고 착각하고 있다.
작은 농업혁명(힘/동력 이용)
산업혁명은 밑 바닥에 "돈"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임
돈을 벌 아이디어(수단)이 '과학'
동력의 힘을 기반으로 한 돈벌이 혁명이 1차 산업 혁명 (석탄), 100년 이상 전세계적인 현상(1867년), 부작용: 공장 노동자들의 희생 - 평균 수명 18,19세
2차 산업 혁명도 전기, 에너지 힘, (세계 자원 수탈, exponential consumption 부작용)
3차 산업 혁명 : 정보화 혁명 - 한국전쟁 때문에 IBM 컴퓨터가 나옴, 평지에서 대포를 쏘면 예측이 되지만, 한국같은 산악지대에서는 예측을 위해 개발(IBM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부의 불평등
* 노트북 전원 문제로 요약 중 정지
제4차 산업혁명 착상과 기본형& 하라리 관점의 4차산업혁명 이후 진로
사피엔스&호모데우스
<들어가며>
짝사랑한다는 것은 에너지의 원천입니다.
테크놀로지와 사회간의 샤헤일루의 길을 걷다가 정년 퇴직
저서 '제4차 산업혁명'
1993년 '정보고속도로'구상
2010년 공공기관을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초고속국가정보통신망' 구축운영
u-Korea : 초연결하는 사이버 물리융합(제3공간)고속도로
영화 아바타를 통해 본 제4차 산업혁명 : 초유기체(Superorganism)
2030년대 http://designswarm.com '몽유도원도' : 삼라만상이 연결된 만물 인터넷 시대의 일상
제4차 산업혁명
IoT, Big Data, AI
생각하고 진화하는 디지털 유기체 혁명
완전체 디지털 행성으로 이행(Reality 3.0)
제3의 지구 : 초연결 지능 고속도로 기반 디지털 행성 -> 초병렬 지구행성체제
제2부 유발 하라리 관점의 '4차 산업혁명 이후 진로'
유발 하라리 인류 3부작 전체 구조
과거:사피엔스 :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 (문명의 구조와 인류의 행복)
미래:호모데우스 : 우리가 어디로 가는지 알려준다. (테크놀로지와 사피엔스의 미래)
현재: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 더 나은 오늘은 어떻게 가능한가? (정치적 도전, 탈실, 회복탄력성, 기술적 도전
사피엔스
인간은 용광로에서 막 꺼낸 녹은 유리 덩어리 상태로 자궁에서 사온다. => 놀라울 정도로 다양하게 가공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사피엔스만이 역사적 혀상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바로 여기에 인류가 지구상에서 성공한 근본 이유이다.
인간의 본질은 "허구를 만들고 그것을 믿는 능력"에 있다.
과학혁명의 정점(특이점)은 미음과 뇌, 인간의 몸을 재창조하여 신을 지향한다.
과학혁명의 전개와 인간의 욕망 : 무지의 자각->찾아나서다->'앎'으로 세상을 바꾸다. ->스스로 신이 되고자 한다. => 지배와 피지배이 구조화, 녹색 지구 행성의 위기, 과학/제국/자본 간 대동맹의 되먹임 고리 강화
호모데우스
20세기 : 모든 사람에게 예외 없이 풍요, 건강, 평화의 보편적 표준을 보장
21세기 : 불명, 영성 행복 지향
호모데우스로 진화하는 학문들 : 생명공학->제2의 인지혁명, 사이보그 공학->복수의 장소에 존재하는 것, 비유기체 공학(AI)의 조합-> 완전히 비유기적인 생물(가상세계와 현실세계)
과학은 모든 것을 아우리는 하나로 수렴 "유기체는 알고리즘, 생명은 데이터 처리"
[중간 요약 추후 작성]
Q&A
이순석 Question
유발 하라리 : 중세군사학을 공부한 인류학자
뇌과학에서 사람과 포유류를 구별하는데, 신경망의 연결도가 극적인 차이가 있었음
->인간이 연결도를 떨어지면서, 우연성을 받아 들일 수 있는 개체로 발전했다.
의사, 변호사, 검사와 같은 것을 인간으로 볼 것 인가? 기능적인 것으로 볼 것인가?
인간을 알고리즘으로 판단하는데, 환경에 종속적인 상황에 적응해 나가는 후성유전학 측면이 결려되어 보임.
지능과 의식이 분리되는 것을 느끼지만, 딥러닝 방식은 인간이 알고 있는 방식으로 가르치고 있지 않음.
데이터의 차이를 인공지능이 방식을 획득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음.
종교의 경우, 기독교인들은 '내 속에 신이 있다'로 하고 있는데,
모든 미디어를 확장되고있다면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과 인식하는 사람이 구분되어 있다.
현시대에 사고 방식이 바뀌고 있어 종의 분화가 벌써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생명이 무엇인가?
유발하라리는 너무 선형적으로 생각하고 있지 않은가 하는 생각을 해봄
한기철 Comment
새로운 삶을 쫒아가는 그룹과 종전의 삶을 그대로 사는 사람으로 종을 구분하는 것으로 보임
새로운 문맹자 vs. 포노사피엔스
성단근 Comment
Global Connectivity : 모국어로 세계를 거느릴 수 있음.
5차산업혁명? : 인간이 손님인가 주인인가 의문. : 인간을 주인이라고 착각하고 있다.
작은 농업혁명(힘/동력 이용)
산업혁명은 밑 바닥에 "돈"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임
돈을 벌 아이디어(수단)이 '과학'
동력의 힘을 기반으로 한 돈벌이 혁명이 1차 산업 혁명 (석탄), 100년 이상 전세계적인 현상(1867년), 부작용: 공장 노동자들의 희생 - 평균 수명 18,19세
2차 산업 혁명도 전기, 에너지 힘, (세계 자원 수탈, exponential consumption 부작용)
3차 산업 혁명 : 정보화 혁명 - 한국전쟁 때문에 IBM 컴퓨터가 나옴, 평지에서 대포를 쏘면 예측이 되지만, 한국같은 산악지대에서는 예측을 위해 개발(IBM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부의 불평등
* 노트북 전원 문제로 요약 중 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