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_ Vol. 244 22년 9월 19일 ▶
Community - 자유게시판
[새통사-237차]섬을 보는 시선, 바다의 인문학: 광주전남연구원 김준 박사 강연요약
0) 김준 박사 소개
1) 도입
바다라는 환경 자원을 어떻게 분배하고, 후손에게 어떻게 전하고, 새로 들어온 사람들에게 어떻게 나눠주는지 연구
제주도 마을 목장과 어촌 마을 어장 정도가 지금 실체로 남아 있음
갯벌, 갯바위, --> 공공자원
어촌, 섬, 갯벌, 소금, 음식으로 관심 영역으로 확장 --> 해양 문화로 생각 함
지속 가능성 - 지역공동체, 해양생태계, 주민 삶의 질
덴마크 등 -> 문화유산 -> 제한된 어종만 채취, 자연보호 구역으로 활용
우리나라는 어촌 자원을 활용하여 먹고 사는 것 -> 아시아에서 해안을 보존하는 방식이 유럽(서양)과 다르다는 것을 해외에서도 이해하기 시작 함
2) 섬을 보는 시선
섬
바다로 둘러싸인 육지
섬발전 촉진법(도서관리 촉진법) - 1980년대 처음 만들어짐. 10년 단위로 개정 (행안부)
아직까지 땅에 해당하는 부분만 예산이 들어감
갯벌과 바다는 해수부 예산 투입
섬에 다리를 놓으면 10년 후에 섬발전 촉진법에서 제외되지만, 지금은 섬의 특성 유지에 따라 다름
섬의 숲은 산림청 소관
행안부 산하 섬진흥원(목포)이 2021년에 만들어짐 : 섬정책 통합 관리(제도 개선)가 필요 함, 섬의 권리, 갯벌의 권리, 어촌의 권리
전라남도나 인천쪽에 개발이 덜 되어서 섬에 갯벌이 남아 있음
섬의 가치
지정학 공간, 영토와 섬
어촌과 어업 공간
해양 생물의 산란과 서식
해양문화와 생태여행 거점
섬문화, 어촌 문화
섬과 마을
공유자원으로 이루어진 어촌공동체 (어업 + 마을)
섬정책은 공유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지향 : 미역바위에서 탄소중립마을(태양광, 풍력발전)까지
섬과 섬마을의 지속 : 입어, 입호자격(출자) 엄격(진입장벽인가?)
동해 주문진, 남해 신전, 서남해 신안 증도(염전), 제주도 함덕,서해 연평도 => 집구조, 마을 규칙
빌래 -> 곶자왈(넓고 평평한 지역, 식수-(물통, 용천수), 숲, 마을, 개발하기 좋은 곳)
제주 해녀와 해안이 단절이 되어 버림
섬과 바다 주요 정책
수산자원보호구역
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으로 전환
가로림만 조력발전 (서산-태안) => 물범 =>국가지정 해안정원(생태관광) 추진 중
습지보호지역(13개소)
세계문화유산(문화제보호법, 문호재청)
해양생물보호구역
해양환경보호구역
해양생태계보호구역
순천, 곰소만, 서천, 천수만, ??? 5개 -> 갯벌 세계문화 유산 : 지자체 행정의 의지
강화(외지 사람이 만하고, 이해관계)는 세계문화 유산 추진 반대함
어촌
마을 공유자원 + 어촌 공유자원
가구 수에 따라 갯벌(어장)을 나누어 가지는 규칙도 있음
공용으로 정해진 양만 가져가도록 하는 규칙도 있음
집을 살 때, 어장을 함께 묶어서 총유(집합적 소유), 마을 단위로 어장 허가를 받음
허가를 받은 어장을 이용하는 방식은 마을법에 따름
세계유산
생태 시스템의 완전성을 중요하게 여김
25년 내에 확대를 해서 서해얀 전체 적으로 지정하기를 권고 받음
국가중요어업유산 (전통적인 방식의 어업으로 후대에 전해 주고자 하는 유산
제주 해녀어업
보성 뻘해어업
남해 죽방렴 어업
신안 갯벌 천일염업
완도 주식 김 양식업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
하동, 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통영,거제 견내랑 돌미역 채집
신안 흑산 홍어잡이 어업
부안 곰소 천일영업
울진, 울릉 ???
섬과 숲
섬길, 경관, 치유
섬마다 남쪽(남풍, 태풍), 서쪽(하늬바람), 동남쪽(높새바람)을 막기 위한 돌담(우실)
3) 바다의 인문학
섬의 문화
안면도 풍어제 : 조개를 불러들이는풍어제
섬에서는 장례를 교회에서 대신함
청산도 처문(조장) : 사람이 죽으면 밖에 가장해 두었다가 매장을 함
제주도 본양당 : 마을제, 집집마다 등에 제물을 지고 옴 (한라산 과일, 떡, 옥돔, 등) 마을마다 신내력이 있음
통영 죽도 : 남해 별신굿 : 마을법을 궤어 넣어 상을 차림. 기부금 목록 등 어장 관리 방법을 담고 있음
전남 섬 정책 , 섬과와 과제
섬의 날 제정 (8월 8일), 한국섬진흥원(목포)
전남, 가고 싶은 섬가꾸기 - 경남, 살고 싶은 섬 만들기
정책의 지속성과 통합성(섬, 숲, 바다)/주민참여
정책 방향/관광객이 오면 섬살이 나아질까?
돌산, 지도도, 완도 -> 행정구역으로 지정됨
여수 금오도 비렁길 : 자연과 섬 최대한 보전, 연30만명 방문, 연륙교 압박 -> 걷기 좋은 길
관광객이 많이 오면 선사가 돈을 많이 벌게 됨
섬의 가치 제고, 문화와 예술 접목/통합정책
다리가 놓이면서 섬에 대한 정체성과 가치가 훼손이 됨, 땅값 상승, 실제로 주민이 이득을 보는 구조가 안됨
'느림' + 섬살이 관광삼품화 : 청산도 슬로시티 (농협에서 운영)
느린섬 여행학교, 슬로길 등으로 감성
이미지 호보 ->연 37만명 방문
여행사 상품 섬으로 전락/섬관광 방향
청산도 자원(구들장논-세계농업유산)지속성/섬발전전략 부재
구들장논은 계를 이룬 수리시스템, 묵히면 전체적으로 시스템이 무너지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함
행정+연륙+정책 증도 슬로시티
슬로시티, 자전거/금연 등 환경 친화 브랜드, 슬로마켓, 염전
주민주도의 마을 만들기/태양광시설과 섬과 염전
실종된 슬로시티 가치와 철학
행정 중심의 정책과 운영이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무너짐
퍼플섬 : 신안 (테마섬) -성과중심 추진
외부 자본 잠식
기점도
신안, 갯벌, 노두(가고 싶은섬)
예배당 12개를 만들어 관광지화
세계문화유산(갯벌)에는 관심 없음 -_-;;
장도
보성
꼬막, 여자만
연홍
고흥, 마을미술관, 가고 싶은 섬
설치 미술 운영
개인 미술관->지방 행정에서 인수하여 위탁 운영
미술관이 만들어지면서 마을에서 여객선을 운영
일본(나오시마)처럼 긴 호흡을 가지고, 미술관을 좀 더 전문 기획의 손길이 필요해 보임 - 주변 섬들과 연계하여 거점화 필요
섬 정책 추진, 득과 싶 (얻음+잃음)
자연과 문화를 자원으로 주민과 생각하고 만들어 가는 것이 핵심
주민참여와 주민주도의 딜레마
정책 지속성과 섬의 지속가능성 주목
지속가능 한 섬과 섬마을
섬의 권리
섬마을 (존중 & 배려)
섬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존중하는 문화 필요
섬의 가치를 알리는 노력도 필요
섬 정책 추진,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섬 수용능력, 주민 삶의 질, 사회적 규범, 미래세대
섬 이용은 논의되고 있지만, 보전 관련 정책은 없음(한국섬진흥원 역할)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등 통합정책 필요
0) 김준 박사 소개
1) 도입
바다라는 환경 자원을 어떻게 분배하고, 후손에게 어떻게 전하고, 새로 들어온 사람들에게 어떻게 나눠주는지 연구
제주도 마을 목장과 어촌 마을 어장 정도가 지금 실체로 남아 있음
갯벌, 갯바위, --> 공공자원
어촌, 섬, 갯벌, 소금, 음식으로 관심 영역으로 확장 --> 해양 문화로 생각 함
지속 가능성 - 지역공동체, 해양생태계, 주민 삶의 질
덴마크 등 -> 문화유산 -> 제한된 어종만 채취, 자연보호 구역으로 활용
우리나라는 어촌 자원을 활용하여 먹고 사는 것 -> 아시아에서 해안을 보존하는 방식이 유럽(서양)과 다르다는 것을 해외에서도 이해하기 시작 함
2) 섬을 보는 시선
섬
바다로 둘러싸인 육지
섬발전 촉진법(도서관리 촉진법) - 1980년대 처음 만들어짐. 10년 단위로 개정 (행안부)
아직까지 땅에 해당하는 부분만 예산이 들어감
갯벌과 바다는 해수부 예산 투입
섬에 다리를 놓으면 10년 후에 섬발전 촉진법에서 제외되지만, 지금은 섬의 특성 유지에 따라 다름
섬의 숲은 산림청 소관
행안부 산하 섬진흥원(목포)이 2021년에 만들어짐 : 섬정책 통합 관리(제도 개선)가 필요 함, 섬의 권리, 갯벌의 권리, 어촌의 권리
전라남도나 인천쪽에 개발이 덜 되어서 섬에 갯벌이 남아 있음
섬의 가치
지정학 공간, 영토와 섬
어촌과 어업 공간
해양 생물의 산란과 서식
해양문화와 생태여행 거점
섬문화, 어촌 문화
섬과 마을
공유자원으로 이루어진 어촌공동체 (어업 + 마을)
섬정책은 공유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지향 : 미역바위에서 탄소중립마을(태양광, 풍력발전)까지
섬과 섬마을의 지속 : 입어, 입호자격(출자) 엄격(진입장벽인가?)
동해 주문진, 남해 신전, 서남해 신안 증도(염전), 제주도 함덕,서해 연평도 => 집구조, 마을 규칙
빌래 -> 곶자왈(넓고 평평한 지역, 식수-(물통, 용천수), 숲, 마을, 개발하기 좋은 곳)
제주 해녀와 해안이 단절이 되어 버림
섬과 바다 주요 정책
수산자원보호구역
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으로 전환
가로림만 조력발전 (서산-태안) => 물범 =>국가지정 해안정원(생태관광) 추진 중
습지보호지역(13개소)
세계문화유산(문화제보호법, 문호재청)
해양생물보호구역
해양환경보호구역
해양생태계보호구역
순천, 곰소만, 서천, 천수만, ??? 5개 -> 갯벌 세계문화 유산 : 지자체 행정의 의지
강화(외지 사람이 만하고, 이해관계)는 세계문화 유산 추진 반대함
어촌
마을 공유자원 + 어촌 공유자원
가구 수에 따라 갯벌(어장)을 나누어 가지는 규칙도 있음
공용으로 정해진 양만 가져가도록 하는 규칙도 있음
집을 살 때, 어장을 함께 묶어서 총유(집합적 소유), 마을 단위로 어장 허가를 받음
허가를 받은 어장을 이용하는 방식은 마을법에 따름
세계유산
생태 시스템의 완전성을 중요하게 여김
25년 내에 확대를 해서 서해얀 전체 적으로 지정하기를 권고 받음
국가중요어업유산 (전통적인 방식의 어업으로 후대에 전해 주고자 하는 유산
제주 해녀어업
보성 뻘해어업
남해 죽방렴 어업
신안 갯벌 천일염업
완도 주식 김 양식업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
하동, 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통영,거제 견내랑 돌미역 채집
신안 흑산 홍어잡이 어업
부안 곰소 천일영업
울진, 울릉 ???
섬과 숲
섬길, 경관, 치유
섬마다 남쪽(남풍, 태풍), 서쪽(하늬바람), 동남쪽(높새바람)을 막기 위한 돌담(우실)
3) 바다의 인문학
섬의 문화
안면도 풍어제 : 조개를 불러들이는풍어제
섬에서는 장례를 교회에서 대신함
청산도 처문(조장) : 사람이 죽으면 밖에 가장해 두었다가 매장을 함
제주도 본양당 : 마을제, 집집마다 등에 제물을 지고 옴 (한라산 과일, 떡, 옥돔, 등) 마을마다 신내력이 있음
통영 죽도 : 남해 별신굿 : 마을법을 궤어 넣어 상을 차림. 기부금 목록 등 어장 관리 방법을 담고 있음
전남 섬 정책 , 섬과와 과제
섬의 날 제정 (8월 8일), 한국섬진흥원(목포)
전남, 가고 싶은 섬가꾸기 - 경남, 살고 싶은 섬 만들기
정책의 지속성과 통합성(섬, 숲, 바다)/주민참여
정책 방향/관광객이 오면 섬살이 나아질까?
돌산, 지도도, 완도 -> 행정구역으로 지정됨
여수 금오도 비렁길 : 자연과 섬 최대한 보전, 연30만명 방문, 연륙교 압박 -> 걷기 좋은 길
관광객이 많이 오면 선사가 돈을 많이 벌게 됨
섬의 가치 제고, 문화와 예술 접목/통합정책
다리가 놓이면서 섬에 대한 정체성과 가치가 훼손이 됨, 땅값 상승, 실제로 주민이 이득을 보는 구조가 안됨
'느림' + 섬살이 관광삼품화 : 청산도 슬로시티 (농협에서 운영)
느린섬 여행학교, 슬로길 등으로 감성
이미지 호보 ->연 37만명 방문
여행사 상품 섬으로 전락/섬관광 방향
청산도 자원(구들장논-세계농업유산)지속성/섬발전전략 부재
구들장논은 계를 이룬 수리시스템, 묵히면 전체적으로 시스템이 무너지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함
행정+연륙+정책 증도 슬로시티
슬로시티, 자전거/금연 등 환경 친화 브랜드, 슬로마켓, 염전
주민주도의 마을 만들기/태양광시설과 섬과 염전
실종된 슬로시티 가치와 철학
행정 중심의 정책과 운영이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무너짐
퍼플섬 : 신안 (테마섬) -성과중심 추진
외부 자본 잠식
기점도
신안, 갯벌, 노두(가고 싶은섬)
예배당 12개를 만들어 관광지화
세계문화유산(갯벌)에는 관심 없음 -_-;;
장도
보성
꼬막, 여자만
연홍
고흥, 마을미술관, 가고 싶은 섬
설치 미술 운영
개인 미술관->지방 행정에서 인수하여 위탁 운영
미술관이 만들어지면서 마을에서 여객선을 운영
일본(나오시마)처럼 긴 호흡을 가지고, 미술관을 좀 더 전문 기획의 손길이 필요해 보임 - 주변 섬들과 연계하여 거점화 필요
섬 정책 추진, 득과 싶 (얻음+잃음)
자연과 문화를 자원으로 주민과 생각하고 만들어 가는 것이 핵심
주민참여와 주민주도의 딜레마
정책 지속성과 섬의 지속가능성 주목
지속가능 한 섬과 섬마을
섬의 권리
섬마을 (존중 & 배려)
섬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존중하는 문화 필요
섬의 가치를 알리는 노력도 필요
섬 정책 추진,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섬 수용능력, 주민 삶의 질, 사회적 규범, 미래세대
섬 이용은 논의되고 있지만, 보전 관련 정책은 없음(한국섬진흥원 역할)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등 통합정책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