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 자유게시판

[새통사-237차]섬을 보는 시선, 바다의 인문학: 광주전남연구원 김준 박사 강연요약

강현주
2022-05-03
조회수 284

0) 김준 박사 소개

  • 광주전남연구원(2008-현)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2001-2007)
  • 저서  : <바다인문학>(2022), 바닷마을인문학(2020), 어촌사회학(2020),섬문화답사기(전5권), 바다맛기행(전3권) 등 20여권
  • 지난 30년 동안 400여 유인도를 모두 답사하고, 어촌 공동체를 연구하는 연구원

1) 도입

  • 완도에 있는 섬마을을 대상으로 어촌 공동체 연구의 시작과 방향
  • 바다라는 환경 자원을 어떻게 분배하고, 후손에게 어떻게 전하고, 새로 들어온 사람들에게 어떻게 나눠주는지 연구

  • 제주도 마을 목장과 어촌 마을 어장 정도가 지금 실체로 남아 있음

  • 갯벌, 갯바위, --> 공공자원

  • 어촌, 섬, 갯벌, 소금, 음식으로 관심 영역으로 확장 --> 해양 문화로 생각 함

  • 지속 가능성 - 지역공동체, 해양생태계, 주민 삶의 질

  • 덴마크 등 -> 문화유산 ->  제한된 어종만 채취, 자연보호 구역으로 활용

  • 우리나라는 어촌 자원을 활용하여 먹고 사는 것 -> 아시아에서 해안을 보존하는 방식이 유럽(서양)과 다르다는 것을 해외에서도 이해하기 시작 함

2) 섬을 보는 시선

    • 바다로 둘러싸인 육지

    • 섬발전 촉진법(도서관리 촉진법) - 1980년대 처음 만들어짐. 10년 단위로 개정 (행안부)

    • 아직까지 땅에 해당하는 부분만 예산이 들어감

    • 갯벌과 바다는 해수부 예산 투입

    • 섬에 다리를 놓으면 10년 후에 섬발전 촉진법에서 제외되지만, 지금은 섬의 특성 유지에 따라 다름

    • 섬의 숲은 산림청 소관

    • 행안부 산하 섬진흥원(목포)이 2021년에 만들어짐 : 섬정책 통합 관리(제도 개선)가 필요 함, 섬의 권리, 갯벌의 권리, 어촌의 권리

    • 전라남도나 인천쪽에 개발이 덜 되어서 섬에 갯벌이 남아 있음

  • 섬의 가치

    • 지정학 공간, 영토와 섬

    • 어촌과 어업 공간

    • 해양 생물의 산란과 서식

    • 해양문화와 생태여행 거점

    • 섬문화, 어촌 문화

  • 섬과 마을

    • 공유자원으로 이루어진 어촌공동체 (어업 + 마을)

    • 섬정책은 공유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지향 : 미역바위에서 탄소중립마을(태양광, 풍력발전)까지

    • 섬과 섬마을의 지속 : 입어, 입호자격(출자) 엄격(진입장벽인가?)

    • 동해 주문진, 남해 신전, 서남해 신안 증도(염전), 제주도 함덕,서해 연평도 => 집구조, 마을 규칙

    • 빌래 -> 곶자왈(넓고 평평한 지역, 식수-(물통, 용천수), 숲, 마을, 개발하기 좋은 곳)

    • 제주 해녀와 해안이 단절이 되어 버림

  • 섬과 바다 주요 정책

    • 수산자원보호구역

    • 보호구역

    • 해양보호구역으로 전환

    • 가로림만 조력발전 (서산-태안) => 물범 =>국가지정 해안정원(생태관광) 추진 중

    • 습지보호지역(13개소)

    • 세계문화유산(문화제보호법, 문호재청)

    • 해양생물보호구역

    • 해양환경보호구역

    • 해양생태계보호구역

    • 순천, 곰소만, 서천, 천수만, ??? 5개  -> 갯벌 세계문화 유산 : 지자체 행정의 의지

    • 강화(외지 사람이 만하고, 이해관계)는 세계문화 유산 추진 반대함

  • 어촌

    • 마을 공유자원 + 어촌 공유자원

    • 가구 수에 따라 갯벌(어장)을 나누어 가지는 규칙도 있음

    • 공용으로 정해진 양만 가져가도록 하는 규칙도 있음

    • 집을 살 때, 어장을 함께 묶어서 총유(집합적 소유), 마을 단위로 어장 허가를 받음

    • 허가를 받은 어장을 이용하는 방식은 마을법에 따름

  • 세계유산

    • 생태 시스템의 완전성을 중요하게 여김

    • 25년 내에 확대를 해서 서해얀 전체 적으로 지정하기를 권고 받음

  • 국가중요어업유산 (전통적인 방식의 어업으로 후대에 전해 주고자 하는 유산

    • 제주 해녀어업

    • 보성 뻘해어업

    • 남해 죽방렴 어업

    • 신안 갯벌 천일염업

    • 완도 주식 김 양식업

    •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

    • 하동, 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 통영,거제 견내랑 돌미역 채집

    • 신안 흑산 홍어잡이 어업

    • 부안 곰소 천일영업

    • 울진, 울릉  ???

  • 섬과 숲

    • 섬길, 경관, 치유

    • 섬마다 남쪽(남풍, 태풍), 서쪽(하늬바람), 동남쪽(높새바람)을 막기 위한 돌담(우실)

3) 바다의 인문학

  • 섬의 문화

    • 안면도 풍어제 :  조개를 불러들이는풍어제

    • 섬에서는 장례를 교회에서 대신함

    • 청산도 처문(조장) : 사람이 죽으면  밖에 가장해 두었다가 매장을 함

    • 제주도 본양당 : 마을제, 집집마다 등에 제물을 지고 옴 (한라산 과일, 떡, 옥돔, 등) 마을마다 신내력이 있음

    • 통영 죽도 : 남해 별신굿 : 마을법을 궤어 넣어 상을 차림. 기부금 목록 등 어장 관리 방법을 담고 있음

  • 전남 섬 정책 , 섬과와 과제

    • 섬의 날 제정 (8월 8일), 한국섬진흥원(목포)

    • 전남, 가고 싶은 섬가꾸기 - 경남, 살고 싶은 섬 만들기

    • 정책의 지속성과 통합성(섬, 숲, 바다)/주민참여

    • 정책 방향/관광객이 오면 섬살이 나아질까?

    • 돌산, 지도도, 완도 -> 행정구역으로 지정됨

    • 여수 금오도 비렁길 : 자연과 섬 최대한 보전, 연30만명 방문, 연륙교 압박 -> 걷기 좋은 길

      • 관광객이 많이 오면 선사가 돈을 많이 벌게 됨

      • 섬의 가치 제고, 문화와 예술 접목/통합정책

      • 다리가 놓이면서 섬에 대한 정체성과 가치가 훼손이 됨, 땅값 상승, 실제로 주민이 이득을 보는 구조가 안됨

    • '느림' + 섬살이 관광삼품화 : 청산도 슬로시티 (농협에서 운영)

      • 느린섬 여행학교, 슬로길 등으로 감성

      • 이미지 호보 ->연 37만명 방문

      • 여행사 상품 섬으로 전락/섬관광 방향

      • 청산도 자원(구들장논-세계농업유산)지속성/섬발전전략 부재

      • 구들장논은 계를 이룬 수리시스템, 묵히면 전체적으로 시스템이 무너지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함

    • 행정+연륙+정책 증도 슬로시티

      • 슬로시티, 자전거/금연 등 환경 친화 브랜드, 슬로마켓, 염전

      • 주민주도의 마을 만들기/태양광시설과 섬과 염전

      • 실종된 슬로시티 가치와 철학

      • 행정 중심의 정책과 운영이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무너짐

    • 퍼플섬 : 신안 (테마섬) -성과중심 추진

      • 외부 자본 잠식

    • 기점도

      • 신안, 갯벌, 노두(가고 싶은섬)

      • 예배당 12개를 만들어 관광지화

      • 세계문화유산(갯벌)에는 관심 없음 -_-;;

    • 장도

      • 보성

      • 꼬막, 여자만

    • 연홍

      • 고흥, 마을미술관, 가고 싶은 섬

      • 설치 미술 운영

      • 개인 미술관->지방 행정에서 인수하여 위탁 운영 

      • 미술관이 만들어지면서 마을에서 여객선을 운영

      • 일본(나오시마)처럼 긴 호흡을 가지고, 미술관을 좀 더 전문 기획의 손길이 필요해 보임 - 주변 섬들과 연계하여 거점화 필요

  • 섬 정책 추진, 득과 싶 (얻음+잃음)

    • 자연과 문화를 자원으로 주민과 생각하고 만들어 가는 것이 핵심

    • 주민참여와 주민주도의 딜레마

    • 정책 지속성과 섬의 지속가능성 주목

  • 지속가능 한 섬과 섬마을

    • 섬의 권리

    • 섬마을 (존중 & 배려)

    • 섬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존중하는 문화 필요

    • 섬의 가치를 알리는 노력도 필요 

  • 섬 정책 추진,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 섬 수용능력, 주민 삶의 질, 사회적 규범, 미래세대

    • 섬 이용은 논의되고 있지만, 보전 관련 정책은 없음(한국섬진흥원 역할)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등 통합정책 필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