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50년 지구가 묻는다 7번째 시리즈 - 인간과 전염병
1) 코로나-19 현황 공유: 지난 달 평균 확진자가 한국이 가장 많았음.
2) 인간과 전염병 : 농경의 시작
- 집단 생활 시작으로 오염, 위생이 안좋아짐. 풍토병, 비타민D 합성의 감소
- 거대 도시의 생성 -> 전염병을 제어하기 어려워짐
3) 전염병 감염의 주요 원인들
- 가축의 영향 (인수공통전염병)
- 모기 : 지구 기온 상승에 따른 뎅기열( Dengue Fever) 확산
- 야생동물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 야생 동물을 잡아서 유통
- 박쥐(체온이 3~4도 높아,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보균자' 효과) 유래 감염병 : 메르스, 광견병, 에볼라, 사스, 지구 온난화
4) 주요 전염병의 역사 : 1000년 동안 인류를 괴롭힌 10대 전염병
- 한센병,흑사병,매독,발진티푸스,천연두,결핵,콜레라,말라리아,스페인독감,에이즈
5) 역대 최악의 바이러스 : 전염병 9
- 페스트,천연두,말라리아,탄저균,에볼라,결핵,스페인독감,사스,코로나19
6) 주요 전염병의 역사(고대 전염병)
- 아테네 역병
- 흑사병 (6세기~8세기, 14세기 원나라 말기, 14세기~19세기)
- 쥐벼룩에 붙어사는 페스트균
- 전염병이 인구 조정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짐
- 전쟁(세균전) 도구
- 인류는 이미 14세기에 글로벌 이동과 무역, 분쟁과 난민 이동, 세규전으로 전염병 확산을 경험
7) 전염병의 영향 : 중세 유럽 경제 구조 뒤바꿔
- 봉건제도의 몰락 (노동력 감소, 임금 인상, 영세
- 영주들이 파산 ==> 시장과 화폐 경제, 교역의 시대가 도래)
- 농민-> 자유민 지위 , 상업으로 부의 축적 -> 르네상스의 기반 구축
- 중앙집권적 왕과 정부의 힘이 강해 짐
- 근대시대 도래, 독립 자영농(장원제 약화)
- 대항해시대
- 천연두 역사
- 기원전 1만년 전
- 아즈텍 문명 초토화
- 제너(Jenner) 의 종두법
- 1796년 5월 14일 인류 역사에 백신이 처음 등장
- 우두법( Vacca: 암소)
- 1979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인류의 천연두 정복을 선언
- 인구축소->초원/숲 화 -> 이산화탄소 줄어듬 -> 소빙기(Little Ice Age) 도래
- 콜레라
- 인도 풍토병으로 시작
- John Snow : 런던에서 콜레라가 수인성 전염병임을 입증, 빅데이터 분석
- 황열병
- 모기를 매개로 전염
- 황열병 백신 : 막스 타일러(1937)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 아메리카에서 프랑스군이 철수하는 역할을 하게됨
- 결핵
- 역사사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감염병
- 공기로 감염되며, 폐조직에 결핵이 잘 생김
- 우역 ( Cattle Plague, Rinderpest)
- 19세기 유럽이 아프리카 대륙 점령이 수월해짐
- 소아마비( Polio)
- Jonas Salk 교수 1955년 소아마비 백신 개발
- 세균(bacteria)과 바이러스 (virus)
- 코흐와 파스퇴르의 미생물 전쟁
- 파스퇴르: 백신개발, 저온살균법, 예방주사
- 코흐 : 세균학의 아버지, 탄저균, 콜레라균, 결핵균
- WHO에서 정의한 전염병 6단계
- 1단계 : 동물 사이에서 전염
- 2단계 : 동물 사이 전염, 사람에게도 전염
- 3단계: 사람들 사이 전염 증가
- 4단계 : 사람들 사이에 급속히 유행
- 5단계: 동일 권역
- 6단계 : 전염병의 대유행 (Pandemic, 홍콩독감, 신종플루, 코로나)
- 20세기 이후 주요 전염병과 원인
- 바이러스 전염병 : 스페인 독감, 아시아 독감, 홍콩 독감, 조류인플루엔자, 사스, 신종플루, 코로나19
- 21세기 전염병이 창궐하는 이유
- 지구 온난화 - 동물 개체 수가 기후 변화로 이동
- 신속 전파, 거대도시, 교역 촉진
- Spain 독감
- 호흡기 질환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H1N1)
- 3.1 운동의 원인이 되기도 함(한국 14만 명 사망)
- 스페인 독감 이후 세계
- 영국 몰락, 미국이 신흥 경제 대국
- 노동력 급격 감소
-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중동 호흡기 증후군)
- 박쥐, 낙타
- 발열, 기침, 호흡 관련 등 증상
- 국내 전염병 대응체계 구축
- Corona Virus:COVID-19
- 숙주 후보들 : 관박쥐, 말레이 천산갑, 너구리
- 당단백으로 위장
- RNA
- 3만개 염기
- 주요 변이
-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주로 발생
- 알파 변이, 델타 변이, 오미크론 변이
- 오미크론 전파력과 치명률
- 전파력은 높아지고 치명률은 낮아지는 형태
- 바이러스 진화 차원에서 보면, 오래 머물기 위해 치명률이 낮아진다.
- 바이러스 벡타 방식, mRNA 백신 등장
- 치료제
- 렘데시비르
- 항체 치료제, 혈장치료제
- 먹는 치료제 :머크, 화이자(팍스로비드)
- K-방역
- 3T (Test - Trace - Treat)
- 차세대 범용 백신 : 모든 종류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효능?
- COVID-19 등교 제한에 따른 교육의 영향
- Corona Virus 이후 변화
- 바이오 헬스케어(생명 공학) 혁명
- 글로벌 공급망의 대대적 변화 :자국내 생산 가속화
- 언텍트
- 탈세계화 : 각자도생
- 거대정부 : 중앙집권
- 세계의 일본화 (장기불황)
- 유로존 위기
- 중국의 위상
- 포퓰리즘
- 탈오피스
- 악수의 종말
- 코로나 세대
- 환경 존중
- 전세계적으로 reopening(경제 활동 재개) 시도
[끝]
1) 코로나-19 현황 공유: 지난 달 평균 확진자가 한국이 가장 많았음.
2) 인간과 전염병 : 농경의 시작
3) 전염병 감염의 주요 원인들
4) 주요 전염병의 역사 : 1000년 동안 인류를 괴롭힌 10대 전염병
5) 역대 최악의 바이러스 : 전염병 9
6) 주요 전염병의 역사(고대 전염병)
7) 전염병의 영향 : 중세 유럽 경제 구조 뒤바꿔
[끝]